응답하라 공중전화…적자라도 괜찮아?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한 때 전국민의 통신 수단이었던 공중전화 사업의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위급상황이나 보편적 서비스로서의 공중전화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4년도(2015년도 예정분) KT의 공중전화 서비스에 대한 손실보전금을 165억원으로 산정했다.
공중전화 서비스는 보편적역무로 지정돼 있다.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하면 매출 300억원 이상인 통신사업자가 손해를 분담한다.
미래부는 공중전화에 대한 손실보전금을 165억원으로 산정했지만 이를 다 보전해주는 것은 아니다. 공중전화 운영에 따른 간접적 편익 효과와 운영사업자의 경영효율성 제고를 도모하기 위해 일부 비용은 뺀다. 실제 KT가 공중전화 적자로 보전받는 금액은 133억원 수준이다.
옥외 무인 공중전화는 1962년 등장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을 앞두고는 카드 공중전화기가 보급되면서 그야말로 공중전화 전성시대를 열었다. 90년대 초반에도 무선호출기 삐삐에 온 메시지를 확인하느라 공중전화에 줄서는 모습은 흔한 풍경이었다.
공중전화 사업은 연 매출 8000억원 가량을 기록할 만큼 효자였다. 하지만 공중전화는 이동전화 보급 확대에 반비례해 가파른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월 매출이 채 1000원도 안되는 공중전화가 수천대에 달한다. 디지털 이동통신 시장 활성화의 이면에 아날로그 공중전화의 쇠퇴라는 그림자가 짙게 그리워져 있는 것이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운영비용을 줄여 적자폭도 축소되고 있다는 점이다.
공중전화는 1999년 56만4000여대로 최고점을 찍은 이후 매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매년 감소를 보이면서 현재는 6만9000여대까지 줄었다. 올해 4000여대, 내년에도 3000여대를 줄일 계획이다.
공중전화 적자는 KT 뿐 아니라 SK텔레콤 등 다른 통신사들에게도 골칫덩이다. 보편적 서비스이기 때문에 적자가 발생하면 매출액 비율에 따라 다른 통신사들도 손실 보전금을 내야하기 때문이다.
수익이 나지 않지만 보편적 역무에 해당하기 때문에 마음대로 사업을 접을 수도 없다.
때문에 KT는 공중전화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은행점포를 결합한 공중전화 부스, 인터넷 검색기능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추진해왔지만 큰 성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 여전히 공중전화의 가치는 유효하다. 휴가나온 군인이나 외국인 등에게는 필수 통신수단이 될 수 있고, 가끔 발생하는 이동통신 장애 때에는 줄을 서서 이용할 만큼, 위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ATM기나 심장박동재생기가 설치된 공중전화 부스 등 통신 이외의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세이프존 공중전화부스가 등장하기도 했다. 위급상황시 공중전화부스 안으로 피해 적색버튼을 누르면 문이 자동으로 닫히고 사이렌 및 경광등이 작동된다. 112 신고 및 CCTV 녹화도 가능하다. 이밖에 도서관, 무선와이파이존 역할을 하는 공중전화 부스도 있다.
정부에서도 공중전화의 가치는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다만 수익성 개선은 사업자, 정부 모두의 숙제다. 정부는 사업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사이니지 등 광고허용 방안 등을 고심하고 있다. 농어촌 지역의 경우 노인정, 마을회관에 공중전화 부스가 많은 만큼, 무료 와이파이존 확대 방안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공중전화는 수익성 측면에서만 보면 계륵일 수 밖에 없다"면서도 "여전히 비상시에나 특정계층에게는 유효한 통신수단인 만큼, 활용가치는 높다"고 말했다.
KT 관계자는 "시중은행이나 CD 밴사 등으로부터 부스 개선에 따른 투자재원을 마련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해 시민의 편익을 높이고 공중전화 이미지 개선을 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IB그룹 별도로 독립시킨 우리은행… 영업 정체된 우리투자증권에 마중물 부을까
2024-12-20 13:00:37차기 농협은행장에 강태영 농협캐피탈 부사장 낙점 … 농협생명 박병희·농협손보 송춘수 선임
2024-12-20 11:4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