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퀀텀, ‘2017 스토리지 시장 전망’ 발표

백지영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퀀텀(www.quantum.com)은 2일 ‘2017 스토리지 시장 전망’을 발표, 올해 주목해야 할 사항으로 다양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통합과 데이터 통합관리 등을 꼽았다.

이밖에 ▲자율 주행 자동차 및 인공지능 기술 보급 확대로 스토리지 활용도 확대 ▲기업 비즈니스에 영상물 활용도 증가에 따라 안정적 관리를 위한 스토리지 인프라, ▲테이프 스토리지 확대 ▲대용량 고해상도 4K 영상 데이터 증가에 맞춘 및 고성능 스토리지 등을 주목했다.

퀀텀이 발표한 ‘2017년 스토리지 시장 전망’은 다음과 같다.

◆자율주행자동차·인공지능 보급 확대로 스토리지 활용도 확대=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사물인터넷(IoT) 기술 및 인공지능(AI)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2020년까지 1000만대의 차가 자율 주행 기능을 갖추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AI 기술과 함께 방대한 양의 카메라 및 센서 데이터를 활용,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기존에 AI의 가장 큰 장벽은 프로세싱 능력이었으나 최근에는 점차 스토리지가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기존의 범용 스토리지 솔루션은 성능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며, 장기간 데이터 보관은 물론,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자 필요 시에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는 능력을 지원하지 못한다. 그 결과, 더 많은 기업들이 이 같은 과제를 충족시킬 수 있는 특화된 스토리지와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도입하는 추세로 전환되고 있다.

◆기업 비즈니스에 영상물 활용도 증가에 따라 안정적 관리를 위한 스토리지 인프라=동영상은 10만 마디 말의 가치가 있다. 영상은 기업의 활동과 비즈니스 프로세스에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은 의료 사고에 대비한 영상 자료 및 기업 내 교육 프로그램 강화, 제조 시설에서의 품질 관리 제고, 소매점에서의 구매자 행동 분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유튜브 동영상이 글로 작성된 매뉴얼을 대체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기업들은 교육 및 서비스 전략의 일환으로 동영상을 지속적으로 제작하는 등 영상이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에 최대한 효과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영상물을 관리하기 위해 안정적인 데이터 관리 인프라 및 스토리지를 구축해야 하며, 기업 내에서 IT부서와 일반 사업 부서 담당자간 보다 긴밀한 협업이 요구된다.

◆오브젝트 스토리지,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로 활용도 높아져=오브젝트 스토리지는 우수한 확장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고용량 디스크와 관련된 레이드(RAID) 리빌딩 시간 지연의 문제를 피하면서 주 디스크 스토리지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대용량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지원한다.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기존의 파일 시스템의 계층형 디렉터리 관리 체계가 아닌, 파일에 해당하는 ‘데이터 본체’와 사용자가 부여하는 다양한 ‘부가 정보(메타 데이터)’를 조합한 ‘오브젝트’라는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관리한다.

즉 데이터가 저장되는 스토리지의 물리적 위치 기준의 식별자(전체 경로 지정에 의한 파일 이름 등) 대신에 메타 데이터로 구성된 ‘오브젝트’로 관리하므로 여러 곳에 저장된 데이터를 단일 네임 스페이스로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최근에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반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용량 데이터 보관을 위한 시장 지배적인 기술이 될 것이라는 예상은 아직까지 구체화되지 않고 있다. 사용자들은 기존 인텔리전트 디스크 스토리지 기반 파일 시스템과 최신 테이프 스토리지 기술이 오브젝트 스토리지와 동일한, 심지어 더 나은 성능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이에 향후 기업들은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위한 장기간의 비용 효율적인 아카이브(원본 저장 및 활용)에는 테이프 스토리지를 사용하고, 주로 기업 내부에 구축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위한 기반으로서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활용할 것이다.

◆테이프, 장기 보관 필요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 관리 수요 증가로 지속 성장=백업에서 테이프의 역할은 점차 축소되고 있으나, 스토리지 도구로서의 역할은 끝이 난 게 아니다. 비정형 데이터의 용량과 가치가 지속적으로 커짐에 따라 강력하면서도 저렴한 아카이브에 데이터를 보관, 보호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테이프는 수년간 성능, 용량, 에코시스템 통합 등에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면서 장기 보관에 최적화된 기술이 되었다. 이것이 바로 유전체학, 학술 연구, 영상 관제, 엔터테인먼트 등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다루고 있는 많은 조직들이 스토리지 인프라의 중요한 부분으로 테이프를 사용하는 이유이다.

또한 테이프에서 데이터를 옮기고자 했던 기업들이 스스로 역코스를 택하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이와 함께, 대형 퍼블릭 클라우드 제공업체들은 주요 스토리지 업체로서 그들의 역할을 확대하고, 가격을 내리며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그들의 비즈니스 모델에 맞게 테이프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게 될 것이다. 테이프는 여전히 경제적인 이점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기업이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통합 관리=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더 많은 데이터가 퍼블릭 클라우드에 저장될수록 특정 벤더 종속을 막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활용하는 기업들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요한 과제는 기업들이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혼용해 사용할 때 클라우드간 워크로드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것이다.

어느 누구도 스토리지 사일로(전체에 통합되지 못하고 고립적으로 활용되는 것)가 존재하기를 원하지 않으며, 이의 관리 문제가 발생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조직들은 점차 멀티-사이트만이 아닌, 멀티-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스토리지 및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구축하게 될 것이다. 또한, 멀티 사이트 환경을 원활히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툴을 클라우드 환경에도 도입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4K 영상 데이터 증가에 맞춰, 안정적 IT 인프라 및 고성능 스토리지 필요=4K 영상은 새로운 것은 아니다. 2011년, 극장들은 4K 영화 상영을 시작했고, 넷플릭스(Netflix)는 2년 전에 일부 프로그램에 대한 4K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러나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가 4K로 이동하고 심지어 더 높은 해상도의 영상에 주목한 반면, 다른 시장에서의 4K 채택은 상대적으로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기업들이 이 같은 유형의 데이터 관리 방안을 여전히 고심하고 있기 때문이다. 4K 영상은 파일 크기도 대규모이지만 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여러 과제를 안고 있다.

즉, 프레임 드롭(영상 끊김)이나 영상의 찌그러짐 현상 없이 원활하게 4K 데이터를 인입(ingest), 전송하는 능력은 기존의 스토리지 인프라의 역량을 뛰어넘는 것이다. 기업에서 영상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조직들은 이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전체 스토리지 인프라를 교체하지 않고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 인프라에 원활히 통합되며 영상 처리에 최적화된 고성능 스토리지 관리 솔루션을 활용하는 것이 최상의 방안이다.

◆고성능컴퓨팅(HPC) 제공업체들, 전체 기업 데이터 관리 방안 마련해야=많은 기업들에게 여러 대의 PC 및 서버를 연결해 구성하는 클러스터 컴퓨팅 활용이 대중화되면서, 조직들은 새로운 투자, 보다 효과적인 운영, 더 높은 제품 품질 및 고객 서비스 등의 신속하고 탁월한 비즈니스 의사결정에 전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더 많은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다.

그 결과, 기업들은 이 같은 규모에 최적화된 성능, 용량, 데이터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베스트 프랙티스 및 기술을 얻기 위해 고성능 컴퓨팅 제공 업체들에게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 이에 HPC 제공업체들은 기업들이 오픈소스 계획을 통합하고, 저렴한 하드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최적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며, 전체 인프라를 단일 계층을 통해 단일 네임스페이스에서 데이터를 관리하여 간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이제 HPC 제공 업체들은 기존의 이진법 바이너리(binary) 데이터 관리에 대한 기존의 초점을 옮겨 비정형 데이터의 급격한 증가에 맞춰 전체 기업 데이터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백지영
jyp@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