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랩스의 야심, ‘자동차서도 네이버 로그인’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네이버랩스(대표 송창현)가 30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7 서울모터쇼' 프레스데이에서 자율주행, 커넥티드 카, 3차원 실내지도 등 생활환경지능 기반 기술을 공개했다. 네이버랩스는 네이버(대표 한성숙)의 기술연구개발 법인이다.
이번에 공개한 네이버랩스 자율주행차는 국내 IT기업 최초로 국토부 도로주행 임시허가를 받은 차량으로 현재 실제 도로에서 실험 주행 중이다. 이 차량은 미국자동차공학회(SAE)의 자율주행 기준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네이버랩스는 완전자율주행(레벨4) 단계를 달성하기 위해 기술 개발에 매진 중이다.
이어서 송 대표는 “공간과 이동에 대한 생활환경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사람과 사회가 도구에 얽매이지 않고 더 중요한 삶에 몰입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네이버와 네이버랩스는 이번 2017 서울모터쇼에 1000제곱미터(약 302평)의 전시공간을 마련하고 ▲국토부 임시주행 허가를 받은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중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시제품 ▲3차원 실내지도 맵핑 로봇 'M1' 공개 및 시연 ▲네이버 자동차 서비스의 차량정보 확인 체험 공간 등을 선보인다.
◆네이버랩스가 고민 중인 ‘공간과 이동’이란?=올 1월 네이버 연구개발 조직에서 별도 법인으로 독립한 네이버랩스는 ‘공간’과 ‘이동’에 대한 연구에 본격적으로 집중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송 대표는 “사용자들의 발길이 닿는 무수한 공간과 이동 경로를 데이터화하며 그들의 삶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기술 개발 취지를 설명했다.
이를 위해 네이버랩스는 차세대 이동 솔루션을 연구하고 인공지능(AI)과 로봇기술의 융합을 통한 생활공간의 정보화를 지속하는 한편, 새로 개발 중인 IVI 플랫폼을 오픈해 더 많은 파트너와의 협력을 넓혀가는 방식으로 기술과 서비스의 선순환을 이루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자율주행차 인지’ 기술 고도화 주력=네이버랩스는 ‘인지’ 분야에 주목해 자율주행 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인지는 정밀한 자기 위치, 사물의 인식 및 분류, 상황의 판단 등 자율주행에서 핵심적인 감각기관과 두뇌의 역할로, 정보와 데이터의 분석 처리가 중요하다.
송 대표는 “네이버랩스가 이미 역량을 키워왔던 비전 기술과 딥러닝 기술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분야의 R&D(연구개발) 속도를 높이고 있다”며 “특히 기계학습 기반의 기술을 실제 차량 주행에 접목시키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경제적이고도 정확도가 높은 인지 기술을 개발해 나가는 것이 네이버랩스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이번 모터쇼에서 네이버랩스는 딥러닝 기반의 이미지 인식 기술을 통해 도로 위의 사물과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해 차량의 경로를 계획하고 측후방 영상에서 빈 공간을 판단해 차선 변경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등의 기술을 새롭게 선보였다.
네이버랩스는 위치기반서비스(GPS)가 잡히지 않는 실내공간의 디지털화를 위해 로봇 M1을 개발했다. M1으로 제작한 3D 정밀지도를 통해 대규모 실내공간에서도 현재 위치를 간단히 파악하고 길 찾기가 가능해지면, 부동산 정보·게임·광고를 비롯한 여러 공간 기반 서비스들의 핵심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네이버랩스의 설명이다.
한편 네이버는 서울모터쇼를 찾은 방문객들이 네이버의 미래 기술뿐 아니라, 자동차 정보를 직접 검색하고 찾아볼 수 있는 공간도 별도로 운영하는 등 다양한 고객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발달장애 편견없는 세상 만드는 데 동참"
2025-04-17 17:32:41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