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깔리는 인공지능 네트워크, 2022년 스스로 위협 찾아 방어”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스스로 위협을 느끼고 방어하는 인공지능(AI) 기반 네트워크 체계를 2022년까지 구축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정보보호 연구개발(R&D)에 1000억원을 쏟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4차 산업혁명 대비 초연결 지능형 네트워크 구축 전략을 마련하고, 미래 네트워크 개발과 도입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사이버 자가 변이(은폐), 학습기반 자율 보안, 단말 간 협업 보안 등 위협을 인지하고 스스로 방어하는 능동형 기술을 개발하고, 인공지능(AI)기반으로 위협을 자동으로 분석·예측할 수 있는 체계를 2022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AI 기반 선제적 위협 탐지 등 정보보호 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고신뢰 기반 확보 위한 정보보호 R&D 투자를 올해 550억원에서 2022년 10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또, 사이버 위협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센터를 설립해 정보 분석·공유를 확대할 방침이다.
내년에는 지능화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해 민간 주요 정보통신망사업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취약점 분석‧평가 기준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소프트웨어(SW) 기반 AI 네트워크 개발을 지원한다. 2019년에는 미래네트워크 선도시험망(KOREN)을 최대 200G급의 SW 기반 전국규모의 지능형 시험 네트워크화한다.
정부는 SW와 AI 기술을 통해 2019년 운용자의 망 제어·관리 기능을 신속하게 지원하는 망 ‘민첩·유연’을 달성하고, 2022년에는 운영자에게 망 제어·관리 기능을 사전에 제공하는 ‘준지능형’으로 발전한 후 2025년 모든 망 제어·관리 기능을 자율적으로 처리하는 인공지능 네트워크로 단계적 고도화를 꾀할 계획이다.
트래픽 및 네트워크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스스로 인지해 네트워크 자원을 최적화하는 기술은 내년부터 2020년까지 개발에 나선다. 5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제2판교에는 ‘AI 네트워크 랩(AI Network Lab)’을 설립하고 시험·검증된 신기술을 공공·민간부문 네트워크에 적용해 망을 효율화한다. 네트워크 관리 비용 및 시간을 50% 이상 절감하고, 네트워크 장애처리 시간은 10배 이상 단축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정부는 2020년까지 215억원을 쏟아 지능형 초연결 네트워크의 신기술 선도적용 모델화와 가이드라인 마련으로 전체 공공·민간분야로 확산키로 했다.
양자암호통신 기술개발에도 나선다. 양자암호통신을 공공 통신망에 선도 적용하기 위한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주요 국가 통신망에 시범 적용할 예정이다.
2019년까지 양자암호통신의 공공망 도입·적용을 위한 암호모듈인증제도(K-CMVP)를 정비하고 2020년까지 보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국가 핵심시설, 데이터센터 등의 전용회선 구간에 대해 양자암호통신 보안망을 시범 적용한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2024 IT혁신상품] AI 협업부터 비정형데이터 보호까지…지란지교그룹 '각개약진'
2024-12-19 18:33:01비트코인, 1억5000만원대 유지…RWA NOVA 코인, 비트마트에 신규 상장
2024-12-19 18:06:07'계엄군 점거' 서버 살펴본 선관위 보안자문위…"침입 흔적 없다"
2024-12-19 17:56:25[현장] 티빙·웨이브 합병 두고 CEO별 온도차…"주주 동의 필요 vs 無 관여"
2024-12-19 17:13:57[DD퇴근길] 갈길 먼 AI 기본법…바디프랜드, '가구' 선보인 이유는
2024-12-19 16:5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