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미래 책임질 예타사업…정부 역할 커졌다
그동안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사업은 전자정보디바이스 재원을 바탕으로 이뤄졌으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성숙한 산업의 연구개발(R&D)을 민간분야로 이양하겠다고 밝히면서 신규 지원이 끊어졌다. 예타사업의 향방에 따라 쪼그라든 국책 R&D 사업 규모를 대체할 수 있을지가 결정된다.
이와 관련해 오는 7일까지 강원도 휘닉스평창에서 진행되는 ‘제13회 디스플레이 국책사업 총괄 워크숍’에서 산업통상자원부는 디스플레이 예타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현재 예타사업은 경제성 평가가 이뤄지고 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을 비롯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혁신공정 플랫폼을 구축하고 R&D는 물론 인프라 구축에 관한 내용까지 포함하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연계, 생산설비에서 테스트할 수 있도록 했다. 중국발 액정표시장치(LCD) 공급과잉으로 그 어느 때보다 위기감이 커진 상황이라 업계가 거는 기대는 상당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정부의 견해변화에 기대를 거는 모양새다. 정부는 디스플레이 산업이 세계 1등, 충분히 성숙한 산업이라는 이유로 지원에 인색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2016년부터 신규 예산은 아예 사라졌고 지난 2012년 1326억원이었던 전자정보디바이스 재원은 올해 195억원으로 대폭 줄었다.
지난해 열린 워크숍에서 당시 산업부 유정열 소재부품산업정책관(국장)은 “예산이면 예산, 세제면 세제에 대해 태도를 보이면 (내부적으로) 1등 분야는 알아서 하라는 반응이 나와 이를 딛고 일어서기가 쉽지 않다”라며 ‘1등이니 알아서 하라’는 정부의 인식을 토로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중국의 디스플레이 굴기가 현실적인 위협이 됐고 정부 차원의 지원에서도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격차가 벌어진 만큼 예타사업을 통해 제대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워크숍에 참가한 한 관계자는 “이제 1등도 아니니 정부 논리대로라면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기”라며 “잘 나갈 때 R&D 지원이 이뤄지지 못한 부분은 아쉬우나 이럴 때일수록 정부가 확실한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다른 관계자는 “이번 예타사업 자체보다는 규모가 문제라서 얼마나 많은 지원이 실질적으로 이뤄질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며 “디스플레이 산업이 위기라는 현실을 정부가 직시하지 못하면 어려움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라고 덧붙였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1분기 공포의 증시 변동성에도 ‘에임’ 성적표는 플러스… "AI기반 자산관리 성과"
2025-04-16 11:33:06아이티센코어-맥케이, 영상 AI 솔루션 고도화 ‘맞손’
2025-04-16 11:13:23LG CNS, 미래에셋증권 AIOps 완수…금융권 AX 시장 주도권 확보
2025-04-16 11:00:00현대오토에버 ‘차세대 내비’, 고객중심 UI로 서울모빌리티어워드 최우수상
2025-04-16 10:5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