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백혈병 문제 종착역으로 출발…중재 합의서에 서명
이들 각 주체는 24일 서울시 서대문구 법무법인 지평 사무실에서 조정위의 중재 방식에 합의 서명을 했다. 이날 삼성전자 김선식 전무, 반올림 황상기 대표, 조정위 김지형 위원장이 중재 권한을 조정위에 위임한다고 밝혔다.
이번에는 삼성전자와 반올림 모두 조정위가 제시하는 중재안을 무조건 받아들이는 중재 방식에 먼저 합의함에 따라 11년을 끌어온 양측의 다툼이 사실상 완전타결되는 순서로 접어들었다.
김지형 위원장은 서명에 앞선 인사말에서 “조정위를 믿고 백지 신탁에 가까운 중재 방식을 조건 없이 받아들여 주신 삼성전자와 반올림 측에 감사드린다”면서 “어느 한 편에 치우치지 않고 원칙과 상식에 기반을 두어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중재안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반올림과 반올림에 속한 피해자 집단은 매우 특수한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고 일반적, 상식적 기준만을 적용할 수는 없다”면서 “이점을 고려하되 양측이 수용 가능한 중재안을 도출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이번 중재안은 단지 삼성 반도체나 반올림 피해자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를 보고, 불확실한 영역의 직업병에 대한 지원이나 보상의 새로운 기준이나 방안을 수립하는데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중재안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면서 이를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의 조언을 받아 중재안을 만들 계획”을 밝혔다.
조정위는 곧바로 ▲새로운 질병 보상 방안 ▲반올림 피해자 보상안 ▲삼성전자 측의 사과 ▲재발 방지 및 사회공헌 방안에 관하여 중재안을 마련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조정위는 ▲1차 조정 당시 양측의 요구사항과 쟁점 ▲1차 조정 결정 이후 양측의 주장과 요구사항 ▲반도체 관련 3사(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에서 기조에 실시한 지원보상방안 등을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큰 틀에서 중재안의 방향은 어느 정도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반올림은 그동안 삼성 서초사옥 앞에서 1000일 이상 이어온 농성을 중단하고 곧 천막을 완전히 철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라이즈, 엠넷플러스 오리지널 예능 '숨바꼭질' 세 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5-12 17:54:22구글, 또 다시 지도 반출 요청…“국가 경쟁력 위태” 산업계·학계 우려
2025-05-12 17:5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