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통신장비, 보안 우려 실체없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은 화웨이에 대한 보안 우려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화웨이 스마트폰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도 거두지 않고 있다.
서포크 사장은 “미국과 유럽이 정말 기술과 보안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는 것인지 나도 궁금하다. 화웨이는 모든 정보를 각국 정부와 고객에게 투명하게 공개했다”며 “미국에서 우려를 표했을 때 어떤 것을 하면 안전해질 수 있다고 여기는지에 대한 질문을 했더니 대답을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화웨이에 대한 보안문제 제기는 제품보다 중국 견제 일환이라는 해석이다.
그는 “백도어, 킬스위치 등 중국 정부의 화웨이에 대한 영향력 행사 관련 의심은 지난 2010년부터 계속 나왔다”며 “화웨이 연구개발(R&D)센터는 전 세계에 있다. 중국 정부가 모든 나라 센터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무조건 화웨이 말을 믿으라고 하지 않겠다. 제품 개발 과정 등 할 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해 만족할 때까지 시험을 해도 된다”고 밝혔다. 단지 중국 업체라는 이유로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서포크 사장은 “화웨이가 정보를 빼내는 일은 기술적으로도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통신 네트워크 구성 측면에서 화웨이 장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30% 정도다. 통신사마다 구성이 다르다. 화웨이뿐 아니라 다른 장비도 해킹해야하고 통신사의 헛점도 공략해야한다.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실적 성공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화웨이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도 없다.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은 통신사”라며 “만에 하나 정부가 개입을 원해도 개입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서포크 사장은 “실제로 알려진 보안 문제가 있었는가. 화웨이의 대답은 ‘노’다. 사례가 없다”라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한편 화웨이측은 한국 정부와 통신사가 요구한다면 요구하는 검증절차를 전부 수용하겠다고 했다.
이와관련 서포크 사장은 “한국 정부가 가이드라인을 만든다면 준수하겠다. 이는 모든 장비업체가 당연히 따라야한다. 화웨이는 그동안 각국 정부와 통신사가 요구하는 수준을 맞췄다. 한국 정부가 요구한다면 당연히 수용하겠다”라고 약속했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대선 2025] “AI시대, 정책 낭비 그만” 외친 안철수·이준석…‘AI로 합심’
2025-04-25 17:59:53신한은행, '리딩뱅크' 지켰지만… KB국민·하나은행과 더 피말리는 경쟁 구도
2025-04-25 17:37:39구글 모회사 알파벳, 1분기 '깜짝 실적'…광고 부문 성장 견인
2025-04-25 17:09:06[DD퇴근길] 트럼프 주니어, 韓 찾는다…정용진 초청에 재계 총수 면담
2025-04-25 17:03:56기업은행, 1분기 순이익 8142억원… 중기 대출 힘입어 '사상 최대'
2025-04-25 16:4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