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한 사생활까지 노출, IoT 해킹..."초연결시대 대응 철저히"
2000년대 초반, 해커들 사이에서 시스템 해킹이 유행했다. 서버에 올라간 운영체재(OS) 해킹이 대표적이다. 이를 해킹하기 위해서는 많은 역량이 필요하며 성공했을 때 성취감이 높지 않다는 것이 한 화이트해커의 말이다. 이후 시대가 발전하면서 웹서비스가 등장, 해커들은 이곳으로 눈을 돌렸다. 개인정보는 곧 돈이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또한 큰 흥미를 가져다주지 못했다.
2010년이 되면서 사물인터넷(IoT)이 화두가 됐다. IoT는 해커들에게 큰 흥미를 가져다줬다. IP카메라, CCTV를 해킹해 타인의 사생활을 지켜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와 같은 사생활 노출의 위험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5세대(G) 시대가 도래하면 자동차, 홈네트워크, 스마트팩토리 등이 IoT로 연결된다. 이 경우 해커가 할 수 있는 것이 많아진다.
이 모든 것들은 다크웹을 통해 드러난다. 구글에서 ‘토르(Tor)’를 검색하면 누구나 쉽게 내려받을 수 있다. 토르는 웹브라우저의 한 종류로, 이를 이용할 경우 IP가 3중으로 자동 우회된다. 토르는 ‘더 어니언 라우팅(The onion routing)’의 약자다. 여기서 어니언은 양파를 말하는데, 아무리 껍질을 까도 계속 나오는 양파처럼 네트워크 또한 추적할 수 없다는 의미를 뜻한다.
장형욱 SK인포섹 이큐스트 그룹 전문위원은 “토르는 IP주소 추적을 불가능하게 한다”면서 “도메인이 16자리의 영어와 숫자로 이뤄진 독특한 체계로 이뤄져 있으며, 크롬 익스플로러 등 일반 브라우저에서는 접속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물론 이 브라우저를 통해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화PC를 사용하기도 한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랜섬웨어와 같은 악성코드를 살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크웹을 통해 악성코드를 사서, 다른 사용자에게 감염시킨 다음 복호화를 조건으로 받은 암호화폐를 악성코드 제작자와 나누는 방식이다.
다크웹에는 여러 사이트가 있다. 그중에서 해외 셀럽들의 사생활이 담긴 사진이나 동영상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사이트가 있다. 이곳에 셀럽들의 이름을 검색하면 다양한 목록이 나온다. 심지어 셀럽들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알파벳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밖에도 웹캠, 스파이캠 등을 해킹한 영상이나 사진을 공유한 게시판도 있다.
<홍하나 기자>hhn0626@ddaily.co.kr
K-액센츄어 시동, ISTN-INF 합병…“금융IT 차세대 석권할 것”
2025-04-23 19:54:41조주완 LG전자 대표 "인도 국민 브랜드 도약"…IPO는 '신중 거듭'
2025-04-23 18:23:55K-FAST 동맹 닻 올려…"K-콘텐츠 강화 위해 민관 뭉쳤다"
2025-04-23 18:01:24현대자동차·기아, ‘자동차 부품산업’ 지속가능한 성장 돕는다
2025-04-23 17:57:21“입법이 산업 발목 잡는다”…인기협, 국회 규제 관행 비판(종합)
2025-04-23 17:5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