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버전스

[5G+전략산업/정보보안] 핵심서비스별 보안모델 보급 추진

채수웅

정부는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를 구성하고 19일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정부는 2026년 5G+ 전략산업 생산액 180조원, 수출 730억달러 달성을 위한 15대 5G+ 전략산업별 중장기 정책목표와 추진계획(안)을 제시했다. 각 산업별 추진계획을 분석해본다. <편집자 주>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정부가 2026년까지 5세대(5G) 연관 정보보안 생산액 4.7조원을 목표로 제시했다. 핵심 서비스별 보안모델을 개발하고 융합보안 전문 스타기업 육성 등을 통해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정부는 5G+ 핵심서비스 확산에 대응하는 보안산업 기반 조성에 나선다.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등 5G+ 핵심서비스에 특화된 보안성 검증·평가 항목을 마련하고 5G 기반 IoT 주요기기 대상 보안컨설팅 및 인증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보안모델 개발·실증도 추진한다. 5G+ 5대 핵심서비스별로 보안현황을 분석하고 각각에 맞는 보안모델을 개발해 이를 산업현장에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핵심서비스별 ICT 적용수준, 보안적용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실 서비스 현장에 적용·검증해 문제점을 보완하고 우수 적용 사례의 확대 보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5G 인프라 보호를위한글로벌 수준의5G 네트워크 보안시스템 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올해부터 2022년까지 5G 코어망 보안취약점 및 공급망 관리 등 대응기술을 개발해 국내 이동통신망 실증 및 제품 상용화를 달성할 방침이다. 또한 2021년까지 인공지능 기반 5G 네트워크 통합 보안관리 기술도 개발한다.

이와 함께 5G 환경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전문연구실 운영, 엣지 기반 위협대응 기술개발, 경쟁형 R&D 추진 및 국제공동연구 등에도 나설 계획이다.

정부는 "올해 5G 핵심서비스 보안강화 및 정보보안 중장기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할 예정"이라며 "내년 이후에는 핵심서비스 보안내재화를 위한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채수웅
woong@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