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삼성D, 대형 디스플레이 OLED 대신 QD디스플레이…왜?

윤상호
- 2025년까지 13.1조원 투자…LGD 주도 OLED 진영과 대결 불가피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대형 디스플레이 사업의 축을 액정표시장치(LCD)에서 퀀텀닷(QD)디스플레이로 옮기기로 했다. 2025년까지 13조1000억원을 투자한다. 아산1캠퍼스에 첫 라인을 구축한다. 오는 2021년 양산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대형 QD디스플레이 상용화는 LG디스플레이 등 다른 디스플레이 업체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LCD와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DP)때 같은 생존 경쟁까지 상정할 수 있다.

10일 삼성디스플레이는 세계 최초로 QD디스플레이 투자에 나선다고 밝혔다. 충남 아산1캠퍼스에 Q1라인을 구축한다. 8.5세대 규모다. 2021년부터 가동한다. 65인치 이상 QD디스플레이를 생산할 예정이다. 8세대 LCD라인은 단계별로 QD라인으로 전환한다.

이날 발표한 QD디스플레이는 삼성전자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TV’의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제품이다. QLED에 탑재한 디스플레이는 LCD 디스플레이다. LCD에 QD필름을 붙였다. 빛을 내기 위해 백라이트가 필요하다.

삼성디스플레이 QD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가 없다. 소자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유사하다. 유기화합물 기반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인지 퀀텀닷 기반 발광다이오드(QD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s)의 차이다.

QD는 무기물이다. 무기물은 유기물에 비해 수명이 길다 OLED의 약점인 열화(Burn in, 번인)현상을 막을 수 있다. 다만 삼성디스플레이가 QDLED가 아닌 QD디스플레이라고 지칭한 이유는 빛의 3원색 중 일부는 OLED를 쓰는 점과 QLED TV와 혼선을 막기 위해서로 관측된다.

삼성디스플레이가 계획대로 QD디스플레이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디스플레이 업계와 TV 시장 격변이 불가피하다.

QD디스플레이는 OLED에 비해 기술 난이도가 높다. 품질 확보가 급선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QD디스플레이 연구개발(R&D) 성과를 소개한 적이 없다. OLED는 8K에 도달했다. 품질이 나와도 수율 등 가격경쟁력 장벽을 넘어야 한다. QD디스플레이가 시장에 진입할 경우 OLED와 승부는 필연적이다. TV용 대형 OLED는 LG디스플레이가 독점 공급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LCD 대신 OLED 올인했다. 15개 업체가 OLED TV를 만든다. 삼성디스플레이는 LG디스플레이를 뒤쫓는 대신 다른 길을 택했다.

2000년대 초반 LCD와 PDP 경쟁과 비슷한 상황이다. 각각 장단점이 있었지만 LCD로 수렴했다. 당시 LCD 대표 주자는 삼성전자와 소니 PDP는 파나소닉이었다. 삼성전자와 소니가 LCD디스플레이 합작사를 만들며 판이 기울었다. 기술발전과 가격에서 LCD가 우위를 잡았다. PDP TV는 사라졌다. QD디스플레이를 둘러싼 업계의 이합집산은 세계 디스플레이와 TV업계 변수다.

한편 삼성전자 TV 제품군의 급격한 변화는 없을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디스플레이 패널 종류와 관계없이 TV의 표현력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TV제품군을 QLED와 QD디스플레이 병행 가능성이 높다. 패널보다 QD라는 물질로 차별화하는 전략이다. 아울러 삼성전자 세트 사업은 자체 제조 부품을 우선 채용한다기보다 다른 업체와 경쟁 입찰을 붙인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윤상호
crow@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