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려라 OTT] 넷플릭스는 왜 ‘오리지널’에 집착하나
미국 DVD 대여점으로 출발한 ‘넷플릭스’는 전 세계에 구독형 OTT 바람을 몰고 왔고, 지금은 역사적인 콘텐츠 맹주 ‘디즈니’까지 이 시장을 넘보고 있다. 한국에서도 국내 첫 통합 OTT ‘웨이브’를 필두로 경쟁이 격화되는 형국이다. <디지털데일리>는 ‘달려라 OTT’ 기획을 통해 현시점 주요 OTT 플랫폼별 전략과 전망을 살펴본다. <편집자주>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성장은 넷플릭스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넷플릭스는 구독형 영상 스트리밍 시대의 포문을 열었고, 지금은 전 세계 가입자 1억6000만명의 시장을 확보했다. 아직 OTT라는 용어가 낯선 이들에겐 넷플릭스라는 이름이 곧 예시다. 분야 막론 구독형 서비스를 설명할 때 ‘OO계 넷플릭스’라는 별칭이 붙기도 한다.
원조 OTT 넷플릭스의 출발점이 DVD 대여 업체였다는 사실은 유명한 일화다. 현 넷플릭스 최고경영자(CEO)인 리드 헤이스팅스는 약 20년 전인 1997년 대여점 방문이 귀찮은 이용자를 위해 DVD를 우편으로 배송해주는 사업 모델을 시작했다. 이후 넷플릭스는 2007년 사업 방식을 ‘우편 대여’에서 ‘인터넷 스트리밍’으로 바꾸면서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게 된다.
넷플릭스의 성장 요인은 복합적이다. 예컨대 넷플릭스는 인공지능(AI) 기반 콘텐츠 추천 서비스 등 적극적인 큐레이션 기능으로 개인화된 이용자들의 니즈를 공략했다. 한 계정을 동시에 여러 명이 사용할 수 있는 저렴한 요금 설계도 이들의 발길을 묶어뒀다. 중간 광고 없이 빠르게 콘텐츠 ‘몰아 보기’가 가능한 각종 편의성도 넷플릭스의 장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무엇보다 ‘오리지널 콘텐츠’ 경쟁력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혹자는 넷플릭스의 성공이 인터넷 시대를 타고난 결과물이라고 평가하지만, 단순히 잘 만든 스트리밍 서비스의 등장으로만 설명하기는 어렵다. 요컨대 넷플릭스는 월정액을 내고 플랫폼을 무제한으로 이용하는 구독형 OTT의 장점을 가장 잘 살리는 방편으로 자체 콘텐츠를 ‘독점화’하는 전략을 내세웠다.
넷플릭스의 첫 번째 오리지널은 ‘릴리해머’이지만 첫 간판 오리지널은 2013년 제작된 ‘하우스오브카드’를 꼽는다. 당시 회당 제작비는 40억원 수준으로, 시즌1 제작에만 약 1200억원이 들었다. 완성도 높은 콘텐츠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이 기간 넷플릭스의 유료 가입자는 전년 대비 36.5% 급증했다. 매출은 곧바로 흑자 전환했다. 넷플릭스가 오리지널 콘텐츠의 저력을 확인한 순간이다.
오리지널 전략은 단순히 신규 가입자를 유인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기존 가입자를 묶어둘 수 있는 장치였다. 실제 OTT 플랫폼은 가입자 충성도가 매우 낮은 시장이다. 미디어미래연구소에 따르면 북미 시장의 경우 매년 가입자의 5분의 1가량이 OTT 플랫폼을 변경하며, 가입 해지율도 40%대로 높다. 차별화된 콘텐츠로 기존 가입자를 꾸준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이후 넷플릭스는 한 해 매출액에 버금가는 돈을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아낌없이 투자하기 시작했다. 2013년만 해도 넷플릭스의 콘텐츠 투자액은 아마존 프라임이나 훌루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5년이 지난 2018년 격차는 2~3배로 벌어졌다. 이 기간 넷플릭스의 콘텐츠 제작비는 130억 달러(15조8000억 원)에 달했고, 지난해에는 150억 달러(18조2000억 원)에 이르렀다.
[현장]“어르신, 온라인 예약 하셨어요?”...SKT 유심교체 방문해보니
2025-05-10 07:07:00국내 플랫폼 다 죽는다…"공정거래법 개정안, 경쟁력 약화할 것"
2025-05-09 19:09:38주니퍼네트웍스, 가트너 '데이터센터 스위칭 부문' 리더 선정
2025-05-09 17:41:02[DD퇴근길] 김영섭號 KT, 통신 다음은 AI…"MS 협력 성과 가시화"
2025-05-09 17:25:15연 6.0% 우대금리 혜택… 새마을금고 어린이 맞춤형 'MG꿈나무적금' 5만5천계좌 판매
2025-05-09 17:1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