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일까… 신가전 ‘식기세척기’ 예상밖 돌풍
[디지털데일리 이안나기자] 올해 가전 시장에서 식기세척기 인기가 예사롭지 않다. 편리하다면 기꺼이 비용을 더 지불하는 ‘편리미엄’ 문화 확산과 더불어 코로나19로 위생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가전업계에선 공기청정기와 건조기 다음으로 식기세척기가 ‘선택재’에서 ‘필수재’가 될 것으로 예상하기도 한다.
21일 가전업계에 따르면 국내 식기세척기 시장은 전년 대비 50% 이상 성장해 3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2017년 7만대 선이던 국내 식기세척기 판매량은 2018년 10만대, 지난해 20만대 규모로 급성장했다. 업계는 국내 가정의 식기세척기 보급률을 약 15%로 추정한다. 아직 초기 시장으로 성장 가능성이 크다.
롯데하이마트에 따르면 올해 1·2월 식기세척기 부문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300% 늘었다. 최근 몇 년간 가사노동에서도 편리함을 추구하는 밀레니얼 세대 영향이 컸다. 이에 더해 올해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개학 연기 등 온가족이 집안에서 함께 ‘집밥’ 먹는 시간이 많아지다보니 자연스레 식기세척기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식기세척기 시장에선 SK매직이 가장 많은 소비자간거래(B2C)용 제품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다. SK매직이 올해 1월 선보인 트리플케어 식기세척기는 출시 두 달도 안 돼 판매 1만대를 돌파했다. 이 제품은 와이드 무빙세척 날개와 자외선(UV)청정케어 시스템에 건조·보관 기능을 포함시켰다. 세척이 끝난 후 선반에 따로 옮길 필요가 없다. 2018년 4월 출시된 '터치온'은 70~80도 고온으로 눌러 붙은 밥알과 기름 때를 살균·세척한다. 출시 이후 4만대 이상 팔렸다.
SK매직은 “식기세척기 판매량이 2018년 하반기부터 상승곡선을 타기 시작해 판매량이 전년대비 258% 증가했다”며 “이러한 추세를 이어간다면 지난해 판매 실적의 200% 이상 넘어설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신흥 강자는 LG전자다. 2013년 12인용 식기세척기를 국내 출시한 이후 6년만인 지난해 3월 디오스 식기세척기 신제품을 출시했다. 디오스 식기세척기는 X자 모양의 토네이도 세척 날개가 번갈아 회전하며 세제와 기름때를 제거한다. 섭씨 100도 트루스팀과 인버터 다이렉트드라이브(DD)모터 등을 탑재했다. 표준코스 소음은 34데시벨(dB) 정도로 밤 늦은 시간에도 사용할 수 있다.
LG전자는 경남 창원에서 생산해 국내 시장에 공급하는 디오스 식기세척기의 생산능력이 지난해 비해 2배 가까이 늘었다고 밝혔다. SK매직 역시 식기세척기 물량이 부족하자 공장 라인 증설을 검토 중이다.
“멀티호밍 시대, 정부 시청자 방송채널 선택권 확대해야”
2025-04-24 22:53:07"심층 방어체계, 혼자서 만들 수 없다"…N²SF연구회 발족
2025-04-24 18:46:16[종합] '되는 사업 집중' LG전자, 1Q 최대 매출…'질적성장·HVAC' 초점
2025-04-24 18:21:23'홍콩ELS 사태' 털어낸 KB국민은행… 의미있는 실적 회복
2025-04-24 18: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