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개학 분주한 일선 교육현장··· 쌍방향 수업 보단 ‘인강’ 방식 선호 높아져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교육부가 4월9일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을 결정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이다.
이에 온라인 수업을 준비해야 하는 교사들, 수업을 준비하는 학생들, 이를 보조해야 하는 부모들 모두 처음 경험하는 공공교육 원격수업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3월27일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을 마련했다. 다만 온라인 개학이 처음 발표됐을때 제기됐던 온라인 학습 장비부족 문제 등으로 인한 혼선은 어느정도 진정된 모습이다.
교육부가 쌍방향 방식외에 다양한 원격수업 유형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일선 교육현장에선 ▲실시간 쌍방향 수업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과제 수행 중심 수업 ▲기타 교육감 또는 학교장이 별도로 인정하는 수업 중 하나를 택해 실행하면 수업으로 인정된다. 일선 교육 현장에서는 학교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방법을 최종 선택에 앞서 막판 의견을 취합하고 있는 모습이다. .
먼저, ‘실시간 쌍방향 수업’은 실시간 원격교육 플랫폼을 활용해 교사·학생 간 화상수업을 실시하는 방식이다. 실시간 토론 및 소통 등의 즉각적인 피드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 모두 카메라, 마이크가 필요하다. 두 자녀 이상이 있는 가정이라면 장비도 2대가 필요한 셈이다. 장비가 부족하기때문에 디지털 격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 문제다.
또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수업은 소프트웨어(SW) 선택도 걸림돌이다. 교육부는 화상수업도구의 예시로 네이버 ‘라인웍스’, 구글 ‘행아웃’, 마이크로소프트(MS) ‘팀즈’, 줌비디오커뮤니케이션 ‘줌’, 시스코 ‘웹엑스’ 등을 제시하고 있다.
여러 솔루션 중 교사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솔루션은 줌이다. 이어 이어 행아웃, 클래스룸, 팀즈 등에 대한 논의가 오가고 있다. 다만 일선 학교에서 이 SW를 안정적인 운용을 할 수 있는 인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은 여의치 않다.
때문에 일선 교육 현장에선 실시간 쌍방향 수업 대신 ‘e학습터’, ‘위드랑’, ‘EBS 온라인 클래스’ 등 콘텐츠 활용 중심의 수업에 교사들의 선택이 늘어나고 있다. 교사가 직접 만든 교육 콘텐츠를 학생이 들을 수 있는 형태의 e학습터 등의 방식도 있다.
e학습터 방식은 교사가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는 수업의 경우 교사 개개인의 정보기술(IT) 역량에 따라 콘텐츠의 질이 좌우된다. 다만 이 방식은 교사들의 능력차 때문에 균질한 수업 품질을 보장하는 것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EBS 온라인 강의를 시청하고 교사가 진도를 확인하고 학습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줌으로써 수입의 효과를 내는 방식이 비교적 선호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강의의 품질을 균질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학생은 주어진 과제를 EBS 온라인에 접속해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수강을 하면 된다. 다만 실시간 쌍방향이 아니기때문에 학생 출결 확인이 필요한 조회와 종례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됐으나 이는 교사가 밴드나 카카오톡을 이용해 학생들과 커뮤니케이션하는 방식으로 해결책을 찾고 있다.
물론 공공교육을 ‘인강’으로 대체하는 것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있다. ▲밴드나 카카오톡, 수업확인서 등으로 하는 출결 확인에 한계가 있다는 것 ▲쌍방향 수업에서 학생생활기록부를 기재하는 것과 달리 학생부에 적을 내용이 없다는 것 등이다. 원격수업 출결과 학생부 기재 등에 대한 교육부 차원의 지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트래픽 집중으로 인한 서비스 안정성이 문제다. 접속자가 몰릴 경우 홈페이지나 서비스가 다운되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교육부는 온라인 개학 이후 폭증할 트래픽에 대비하기 위해 3일부터 6일까지 온라인 교육 인프라 증설·확대 작업을 진행에 나섰다.
한편 온라인 개학의 교육 방식은 일률 적용이 아니다.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EBS 온라인 클래스 등을 선택하는 학교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나 그래도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고민 중인 학교도 없지 않다. 다만 쌍방향 수업 방식의 경우, 보다 철저한 기술적 보완이 요구된다.
앞서 3월25일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시·도 교육감과 화상회의를 하며 실시간 쌍뱡항 수업의 도구로 소개한 줌은 최근 보안 이슈가 발생했다. 원격수업 중 해커가 무단 침입해 음란영상을 업로드하고 나가는 등의 ‘줌 폭격’ 등이다.
패스워드를 통해 접속하는 줌의 특성상 패스워드 관리가 중요하다. 줌이 급하게 원격수업을 도입하고 있는 한국 교육계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실시간 쌍방향 수업으로 줌을 고려 중이던 교사의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줌을 이용한 원격수업을 준비 중이던 한 교사는 “온라인 개학이 결정되고 나서 여러 화상회의 솔루션을 알아보다가 교사 커뮤니티에서 줌을 추천받아 사용법을 익히는 중이었다”며 “지금은 문제가 발생해서 그대로 줌을 사용해도 될지, 다른 제품이나 방식을 해야 할지 동료 교사와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온라인 개학까지 일주일 남았지만 교육 현장의 혼란은 여전하다. 교육부는 교사가 원격수업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학교별 대표 교사에게 원격 연수를 실시하고 있다. 온라인 개학 시점에 맞춰 원격수업 준비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종현 기자>bell@ddaily.co.kr
대기업 IT서비스 수장들, 변화보다 안정?…연말인사 관전포인트
2024-11-15 12:31:32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글로벌 눈높이 맞는 주주환원 이행”… 홍콩서 해외 IR
2024-11-15 12:28:22[尹정부 ICT점검] 불복소송전에 송무팀 필요성↑…개인정보위 "이르면 연초 전문인력 구성"
2024-11-15 12:27:41수능지문 속 링크 들어가니 '尹퇴진집회' 안내 …"도메인 구입 후 악용"
2024-11-15 11:26:46'최대 실적'에도 웃을 수 없는 케이뱅크… 내년 초 IPO 흥행엔 여전히 의문부호
2024-11-15 11: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