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페이스북‧넷플릭스, 적반하장…입법공백 채워야 하는 이유
방통위 재정안이 발표된다면, 재판부 판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방통위는 넷플릭스 트래픽 증가로 국내 이용자 이익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넷플릭스 트래픽만 문제가 있으며, 국내외 사업자 간 역차별 등을 종합 고려해 국제망 증설 및 망 이용대가 등도 함께 협상해야 한다고 내부 결론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넷플릭스를 비롯해 글로벌 공룡 CP들은 막대한 트래픽을 일으키는 점 때문에 미국, 프랑스 등 주요 국가에서 망 사용료를 지급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통행비를 지불한다는 것을 넘어, 망에 대한 책임을 함께한다는 뜻이다. 그런데도 한국에서는 공짜망을 원하고, 콘텐츠와 망 품질을 볼모로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시도들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적반하장이 없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첫 단추는 이미 마련됐다. 해외 사업자라도 서비스 안정수단을 확보하고 이용자 요구사항을 처리할 수 있는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명시한 ‘글로벌CP 역차별 해소법’이 국회에 상정돼 있다. 오는 20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와 본회의를 거쳐 최종 통과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20대 마지막 국회에서, 이 법안 통과가 좌절된다면 글로벌CP 입장에서 한국은 이길 수밖에 없는 시장이 되고 만다. 글로벌CP 트래픽은 계속해서 급증할 텐데, 이로 인해 망 사용 부하가 일어나 이용자 불편이 생기더라도 오롯이 국내 사업자만 이를 감당해야 한다.
한국의 우수한 통신 인프라를 마음대로 이용하면서, 수익만 끌어가는 글로벌CP 행위에 일조할 뿐이다. 설사 망 사용료 협상을 하더라도 한국은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밖에 없고, 논란이 커져 소송으로 가더라도 이길 수 있다는 희망은 적다. 글로벌CP는 입법 공백을 악용하면 그 뿐이다. 이대로라면 또 진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51개 지자체에서 중금속 등 오염물질 검출…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도 심각
2025-04-26 10:06:55FAST는 무료 OTT?…“뉴 아이디, 스크린 기반 브랜드로 도약”
2025-04-26 07:00:00[대선 2025] “AI시대, 정책 낭비 그만” 외친 안철수·이준석…‘AI로 합심’
2025-04-25 17:59:53신한은행, '리딩뱅크' 지켰지만… KB국민·하나은행과 더 피말리는 경쟁 구도
2025-04-25 17:3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