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폰 사라지면 어쩌지” 과기정통부, LG전자 만난다
동시에, LG전자 스마트폰 이용자가 삼성전자로 흡수돼 70% 이상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독과점 사업자 지위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기존 LG전자 스마트폰 이용자 보호 대책도 필요하다. 서비스센터를 지속 운영하더라도, 부품 교체 등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난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전체회의에서 LG전자 스마트폰 사업 철수 후 시장 대응에 관한 질의에 대해 “LG전자가 공식화한 적 없으나, 향후 어떻게 진행될지 시장동향을 살펴보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과기정통부가 LG전자와 실무 협의에 나서기로 한 것은 최기영 장관 발언의 후속조치로도 볼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사후서비스(AS) 및 유통‧부품 문제 등과 관련한 이용자 보호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실무 협의 후 필요성이 있다면, 고위급 면담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이와 함께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LG전자 단말 재고를 처리하기 위해 과도한 불법보조금이 집행되지 않도록 시장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고낙준 방통위 단말기유통조사담당관은 “재고처리가 필요하다면 출고가 인하, 공시지원금으로 해결하라고 사업자에게 명확히 말한다”며 “과도한 장려금을 통한 차별적 (불법보조금) 행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전했다.
한편, LG전자는 이르면 다음달 주주총회와 이사회가 열리기 전 23분기 연속 적자를 겪고 있는 MC사업부 향방을 결정할 전망이다. LG전자 스마트폰 사업 철수설이 불거지면서 통매각, 일부 매각, 축소 운영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점쳐지고 있다. LG전자는 모바일 사업과 관련해 현재와 미래 경쟁력을 냉정하게 판단해 최선의 선택을 해야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보고 있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 중인 단계라는 입장이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SK텔레콤 단독 청문회 추가로 연다…“다음달 8일 최태원 증인석 세울것”
2025-04-30 22:08:52공학한림원, 내달 14일 정책토론회…에너지·AI·인재 전략 제안
2025-04-30 18:31:29겉핥기 된 SKT 청문회…‘위약금 면제’에 집중 (종합)
2025-04-30 18:31:10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美 트럼프 장남 만났다…"AI·테크 협력 모색"
2025-04-30 18:0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