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2년(明)] 세계최초 5G 상용화…융합생태계 구축 발판
5세대(5G) 이동전화 상용서비스가 시작된지 2년이 지났다. 평창동계올림픽의 첫 시범서비스에 이어 세계 최초 상용 서비스까지 이뤄내며 통신강국 위상을 높였다. 적극적인 초기 투자로 4차산업혁명 시대 다양한 융합 서비스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품질과 관련한 논란은 현재 진행형이다. 5G에 올릴만한 특화 서비스가 많지 않다는 것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디지털데일리>는 5G 상용서비스 2년을 맞아 명(明)과 암(暗)을 조망해 본다. <편집자 주>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2019년 4월 3일 오후 5시경 동향보고가 접수된다. 미국 최대 통신사 버라이즌이 5G 상용화 시점을 4월 11일에서 4일로 앞당긴다는 내용이었다. 민간기업 해외 지부를 통해 포착된 이 정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에 긴급 전달됐다.
당초 국내 통신사들은 그달 5일 공동으로 5G 전파를 쏘아올리기로 했다. 3사가 공동으로 세계 최초 5G 상용서비스를 약속한 것.
하지만 버라이즌 정보보고로 상황은 긴박하게 돌아갔다. 그날 오후 8시경 과기정통부와 통신3사는 긴급히 의견을 교환했다. 결론은 세계 최초 타이틀을 빼앗길 수 없다는 것이었다. 결국 과기정통부와 통신3사는 그날 오후 11시 전격적으로 5G 개통 및 상용서비스를 시작했다. 미리 정해놓은 1호 가입자를 대상으로 삼성전자 첫 5G 스마트폰인 갤럭시S10 5G를 통해 개통을 진행했다.
지나치게 세계 최초에 집착한다는 지적도 있었지만 한국의 경우 평창동계올림픽 세계 첫 시범서비스를 비롯해 다른 어느 나라보다 적극적으로 5G를 준비해온 만큼 세계 최초 타이틀은 뺏길 수 없는 상황이었다.
◆ 2년간 20조원 이상 투입…5G 리더십 확보
통신사들은 적극적인 투자에 나섰다. 2019년 설비투자비(CAPEX)는 ▲SK텔레콤 2조9154억원 ▲KT 3조2568억 ▲LG유플러스 2조6085억원에 이른다. 지난해에도 ▲SK텔레콤 2조2053억원 ▲KT 2조8700억원 ▲LG유플러스 2조3805억원을 투자했다. 2년간 5G 네트워크 투자에만 들어간돈이 16조원이 넘었다. 마케팅 비용까지 감안하면 2년새 20조원이 넘는 자금이 5G에 투입된 셈이다.
사업자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으로 5G 가입자는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올해 2월말 5G 가입자수는 1366만명으로 집계됐다. 매월 80~100만명 가량 늘어나며 빠른 속도로 LTE를 대체해가고 있다.
또한 적극적인 투자로 5G 품질도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지난해 말 과기정통부의 5G 품질평가에 따르면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90.47Mbp로 집계됐다. 상반기 조사에 비해 33.91Mbps 향상됐다. LTE 보다는 약 4.4배 빨랐다.
가입자 증가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의 무선실적은 개선추세다. 지난해 SK텔레콤은 이동통신서비스 매출은 전년대비 2.7% 증가한 9조9800억원을 기록했다. KT는 1.6% 증가한 6조9338억원, LG유플러스도 5.4% 증가한 5조8130억원을 달성했다. 무선 가입자당평균매출(ARPU)도 소폭 상승했다. 올해 전망도 밝다. 온라인 전용 요금제를 비롯해 중저가로 요금제를 확대하면서 3G, LTE의 가입자 전환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5G는 4차산업혁명 기반기술…융합생태계 구축 원년
5G 커버리지 및 가입자 증가는 비단 통신사 실적 개선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5G는 단순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넘어 정부 경제정책 핵심인 4차산업혁명의 기반시설로서 가치도 담고 있다.네트워크 장비나 스마트폰 등 통신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분야는 물론, 지능형CCTV, 자율주행, 로봇, 정보보안, 엣지컴퓨팅, 실감콘텐츠 등 다양한 사업과 서비스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글로벌 통신장비 시장에서 변방이었던 삼성전자는 한국에서의 실적을 바탕으로 미국, 일본 등에 5G 통신장비를 수출하며 선두권으로 올라섰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미국 버라이즌과 7.9조원 계약을 달성했고 최근에는 일본 NTT도코모와도 계약을 체결했다. 이밖에 KMW, 유비쿼스 등 중소·중견 장비업체들의 수출도 성과를 보이고 있다.
아직 많지는 않지만 5G 융합 서비스도 등장하고 있다. 용인 세브란스병원의 경우 SK텔레콤과 협력해 국내 병원으로는 처음으로 5G 기반 통신망을 구축했고 을지재단도 LG유플러스와 5G 스마트병원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밖에 통신3사는 가상·증강현실(VR·AR) 콘텐츠 시장 확대에도 나서고 있다.
통신사들은 서비스 3년째를 맞이 하는 만큼, 커버리지 확대 및 품질 경쟁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특히, 실내와 농어촌 등 지역에서의 품질향상에 초점을 맞춘다. 통신3사는 2022년까지 5G 전국망 구축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농어촌 지역에서는 통신사 간 망 공동이용(로밍)을 추진한다.
또한 통신사들은 가입자 확대를 위해 무약정 언택트 요금제 출시 등 요금경쟁도 확대되고 있다. 또한 LTE와 5G를 혼용해 사용하는 비단독모드(NSA) 방식에서 5G만 사용하는 단독모드(SA) 전환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정부도 지난해에 이어 5G 투자 세액 공제율을 상향(3%)하고 등록면허세 감면(50%)으로 5G 확산을 촉진한다. 이와함께 정부 지원사업을 통해 5G 융합생태계 조기 구축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실감콘텐츠 ▲자율주행차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디지털헬스케어 등 5대 핵심서비스를 중심으로 ‘5G+ 이노베이션 프로젝트’(1655억원)를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이밖에 정부는 통신사 이외 기업도 5G 특화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해 다양한 5G 서비스 경쟁을 유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조경식 차관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 이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지금은 더욱 분발해야 할 시기”라며 “산업계의 선도적 투자 등 민간의 노력이 필요하며, 정부도 적극 지원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지속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국민연금, 고려아연 ‘집중투표제’ 지지… 법원 판단만 남아
2025-01-19 15:31:10공정・투명한 '공매도'위한 가이드라인 최종안 마련… 금감원 "3월말까지 전산화 완성"
2025-01-19 14:20:28알뜰폰 업계, 갤럭시S25 가입자 사전유치 경쟁 ‘후끈’
2025-01-19 13:16:35주담대 채무불이행자 비율도 '상호금융'업권이 가장 높아…"종합 리스크관리강화 필요"
2025-01-19 1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