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택시플랫폼①] 모빌리티 패러다임 변화, ‘택시 플랫폼’ 달린다

최민지
우버‧리프트 등 글로벌 차량공유 서비스 등장으로 전세계 모빌리티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가운데, 한국은 택시 호출 앱 중심 모빌리티 플랫폼 경쟁이 불붙고 있다. 콜택시 대신 카카오택시(카카오T)를, 현금 대신 자동 결제를 이용하는 등 ‘택시 플랫폼’은 일상생활에 안착했다. 카카오뿐 아니라 SK텔레콤 등 기술기업이 택시 플랫폼 사업에 진출했으며, 데이터와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이동 혁신과 함께 택시시장 구조 변화까지 꾀했다. 이에 최근 변화하는 택시플랫폼 산업과 규제 및 과제 등을 짚어본다. <편집자주>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전통산업 ‘택시’가 플랫폼으로 변화했다. 도로에서 손을 흔들어 택시를 잡는 대신, 스마트폰 앱을 켜고 취향에 맞는 다양한 택시를 호출하는 모습을 어디서나 볼 수 있다. 이용자가 생활 속에서 가장 크게 변화를 체감하는 플랫폼은 택시다.

카카오T로 대표되는 택시 플랫폼은 한국 모빌리티 분야 중 빠르게 성장한 시장이다. 기존 택시업계 반발을 줄이고, 법 테두리 내에서 사업을 확장했기 때문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법인택시 회사를 인수해 면허를 확보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는 다시 말해, 택시업계가 반발한 모빌리티 플랫폼은 시장에서 제대로 설 수 없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과거 카카오는 2018년 출퇴근 시간 승차공유 ‘카카오 카풀’ 서비스를 발표한 후,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사업을 접은 바 있다. 당시 카카오 카풀 시행을 막기 위해 일부 택시기사들의 분신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까지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4월엔 ‘타다 금지법’으로 불리는 개정 여객자동차운송사업법으로 타다 서비스는 중단되기도 했다. 이 또한 택시 업계와의 갈등이 주효했다.

이처럼 택시업계와의 충돌과 유사영업행위 규제 등으로 국내 모빌리티 플랫폼 시작은 우버와 같은 글로벌 사업자보다 다소 늦었으나, 성장성이 높은 산업인 만큼 새로운 플레이어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카카오T 독주를 막기 위해 다음달 우버와 손잡은 티맵택시가 ‘우티’로 새롭게 출범한다. SK텔레콤 자회사 티맵모빌리티는 우버와 합작법인을 설립해 통합 앱 우티 출시를 앞두고 있다. 또한, 토스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는 쏘카가 보유한 타다 운영사 VCNC 지분 60%를 인수하고 12월 타다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이다.

이들은 기술적 강점을 적용해, 단순히 택시 호출 앱이 아닌 플랫폼 확장을 꾀한다. 카카오T는 90% 이상 시장점유율을 확보한 만큼, 방대한 승차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빅데이터는 인공지능 등과 결합해 운행 전 호출부터 배차, 픽업, 주행, 결제,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에 활용된다. 우티는 국내 대표 내비게이션 ‘티맵’ 데이터 역량에 글로벌 사업자 우버 기술력을 더한다. 타다는 모바일 금융 플랫폼 ‘토스’를 통해 핀테크를 결합할 수 있다.

국내 모빌리티 플랫폼은 규제 안에서 발전하고 있으나, 여전히 과제는 존재한다. 카카오T의 경우, 올해 국정감사에서 시장 독과점 및 수수료 문제를 질타받았다. 네이버‧카카오 등 플랫폼 옥죄기가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택시 플랫폼 규제 리스크도 관건이다.

한편, 택시 플랫폼뿐 아니라 다양한 모빌리티 플랫폼 출현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크다. 5G‧자율주행 기술 발전과 함께 자동차 시장이 제조에서 서비스로 전환되면, 모빌리티 플랫폼은 택시‧렌터카 사업을 뛰어넘는 새로운 서비스형모빌리티(MaaS) 역할을 기대해볼 수 있다. 이는 전세계 흐름인 만큼 정부와 산업계가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플랫폼을 안전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법제도 정비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최민지
cmj@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