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데이] 2009.11.28. ‘아이폰’ 오신날
디데이(D-Day). 사전적 의미는 중요한 작전이나 변화가 예정된 날입니다. 군사 공격 개시일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엄청난 변화를 촉발하는 날. 바로 디데이입니다. <디지털데일리>는 정보통신기술(ICT) 시장에 나름 의미 있는 변화의 화두를 던졌던 역사적 디데이를 기록해 보고자 합니다. 그날의 사건이 ICT 시장에 어떠한 의미를 던졌고, 그리고 그 여파가 현재에 어떤 의미로 남았는지를 짚어봅니다. <편집자 주>
2007년 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애플 맥월드 행사에서 처음 공개된 아이폰은 국내에선 무려 2년 10개월이나 지난 후에 사용할 수 있게 됐는데요. 그런 만큼 우여곡절도 많고, 국내 이통통신, 휴대폰 시장에 끼친 파급도 상당히 큽니다.
오죽하면 국내 이동통신시장의 역사는 ‘아이폰’ 출시 전과 후로 나뉜다고 할까요.
아이폰 도입 이전까지만 해도 국내에서 스마트폰은 1% 얼리어답터의 전유물에 불과했습니다. 당시 국내 단말 제조사와 이통사는 피처폰의 성공과 음성수익에 안주했고, 제도적으로는 위피(WIPI) 의무화 등 세계 추세와 단절된 ‘IT 갈라파고스’에 직면했다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
KT는 아이폰 출시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혁신하고, 음성통화와 문자 중심의 요금제에서 벗어난 데이터 요금제 시대를 열고자 했습니다. 아이폰 출시 이듬해인 2010년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도 출시하는 등 혁신을 열었습니다.
하지만 KT는 아이폰 출시의 대가(?)로 한동안 후유증을 겪기도 했습니다. 국내 제조사로부터 차별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KT는 아이폰 출시 초반 삼성의 옴니아2, 갤럭시A, 갤럭시S, 갤럭시탭 등은 공급하지 못했습니다.
또, 동일모델임에도 불구하고 경쟁 통신보다 출고가를 약 3만원 높게 책정하고, 쉬운 이름 대신 복잡한 모델명으로 출시해 인지도 확보에 어려움을 겪게 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은 스마트폰 ‘옴니아 시리즈’를 이통사별로 소개하면서 SK텔레콤은 ‘T옴니아2’로 LG유플러스는 ‘오즈옴니아’라는 이름으로 각각 표기한 반면, 유독 KT 제품만 이름 대신 ‘SPH-M8400’이라는 모델명으로 표기했습니다.
그러나 대세를 거스를 수는 없었습니다. 아이폰 출시의 파급효과는 ‘애플 쇼크’라는 표현처럼 생각보다 컸습니다. KT는 아이폰 출시 100일만에 무려 40만대를 팔아치웠습니다. SK텔레콤도 2년 후인 2011년 아이폰 출시를 선언했습니다. LG유플러스는 2014년이 되어서야 아이폰6를 국내에 출시합니다.
또, 앱스토어의 폐쇄적인 정책은 구글의 안드로이드폰과 안드로이드 마켓이 성장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애플과 달리 구글은 초기에 안드로이드마켓의 수익을 통신사에게 넘기는 등 친이통사 정책을 펴면서도 개발자들을 우대하는 정책으로 세력을 확장했기 때문이죠.
이와 함께 아이폰의 등장은 국내 휴대전화 양대산맥이던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미래 전략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2008년 삼성전자는 SK텔레콤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모바일 운영체제(OS) 기반의 ‘옴니아’를 출시하며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지만 기대와 달리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습니다.
아이폰 국내 출시를 계기로 절치부심한 삼성전자는 윈도모바일 대신 구글 안드로이드 OS로 전환, 현재까지 삼성전자의 대표 플래그십 모델로 자리잡은 1세대 ‘갤럭시S’를 2010년 공개했습니다. 이후 제품 혁신을 거듭하며 현재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출시한 ‘갤럭시Z폴드3’ ‘갤럭시Z플립3’ 등 접는(폴더블) 스마트폰은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KT 이석채 전 회장은 지난 2011년 “정부가 아이폰 국내 진출 시기를 적절히 조절해 삼성전자가 살았다”며 “아이폰이 빨리 나왔다면 삼성전자는 견디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반면 피처폰 시절 ‘초콜릿폰’을 비롯해 ‘샤인폰’, ‘프라다폰’ 등 독특한 컨셉의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출시하며 승승장구했던 LG전자는 아이폰 출시 이후 스마트폰 시장에 발빠르게 대응하지 못하며 내리막길을 걷게 됩니다.
2008년 LG전자는 노키아, 삼성전자에 이어 세계 휴대폰 판매량 3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만, 계속되는 적자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올해 7월 스마트폰 사업에서 철수하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카카오 김범수, 재판 불출석…"수술 회복중, 당분간 참석 어려워"
2025-04-11 18:13:14하나생명- 하나금융티아이, 인천 영종도 해안 플로깅 사회공헌활동
2025-04-11 17:32:03[딜라이트닷넷] 통신3사, ‘AI 브랜드’ 강화 나섰다…AI 전문기업 전환 속도
2025-04-11 17:31:18[DD퇴근길] 점유율 높인 '쿠팡이츠서비스', 영업이익률이 1.1% 라고?
2025-04-11 17:14:55"장애인 여행객도 자유롭게"…놀유니버스, 무장애 여행 캠페인 진행
2025-04-11 17:1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