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라이트닷넷]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화들짝 놀란 기업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하면서 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 사업을 준비하던 현대자동차와 한화, SK텔레콤 등 관련 업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청와대가 용산 국방부 신청사로 옮겨가고 수도권 비행금지구역(P-73A) 설정 기준이 유지될 경우, UAM 터미널 구축이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죠.
일명 ‘플라잉 카’로 불리는 UAM은 도심 교통정체를 해결할 미래형 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만큼 시장 성장성이 매우 큰 편입니다. UAM은 전기동력으로 움직이는 수직이착륙비행체(eVTOL)를 뜻합니다. 수직으로 이착륙이 가능해 활주로가 필요없는데다 소음도 일상 대화수준인 60데시벨(db)에 불과합니다. 연료가 아닌 전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대기오염 우려도 없죠.
이같은 장점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K-UAM 로드맵을 제시하며 2040년 세계 에어모빌리티 시장의 규모가 730조원까지 커질 것이라고 봤고, 모건스탠리는 이보다 더 큰 1조5000억달러(1796조)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내년 전라남도 고흥에서 UAM의 안전성을 입증한 후 서울 등 도심에서 실증사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현재 도심 실증사업을 진행할 사업 후보지를 공모 중입니다. 수도권 실증노선을 우선 검토할 방침인 만큼 김포공항~여의도·용산 노선이 유력한 노선 중 하나로 꼽힙니다.
이달 초 서울시도 ‘2040 서울 플랜’(서울도시기본계획안)을 발표하면서 자율주행과 UAM 등 새로운 미래교통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국토부 계획에 힘을 보탰습니다. UAM의 경우, 오는 2025년 기체 상용화에 맞춰 도심형 항공교통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특히 기체 상용화에 맞춰 노선을 확보하기 위해 김포공항~용산국제업무지구 등의 시범노선을 운영하고, 용산‧삼성‧잠실 등 대규모 개발지구에 UAM 터미널 설치도 추진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 윤 당선인이 청와대의 용산으로 이전을 발표하면서, 도심 실증사업 노선도 변경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청와대가 용산으로 이전하면 마포구 하단부터 성동구 하단까지 한강 수역이 P-73A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현행 P-73A 기준은 종로구에 위치한 청와대를 중심으로 반경 2노티컬마일(약 3.704㎞)로 현재 한강이 포함돼 있지 않습니다. 반면 용산 이전 시에는 인천공항~김포~한강으로 이어지는 유력 실증노선에 기체가 뜨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 UAM 시장 참전을 선언한 업체 가운데선 SK텔레콤, KT 등 통신사들도 있습니다. UAM의 인프라 확충을 위해선 고도화된 통신망이 필수적이기 때문이죠. UAM은 지난해 취임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꼽은 미래 성장 동력 사업이기도 합니다.
SK텔레콤은 UAM 서비스를 위한 CEO 직속 태스크포스(TF)의 발족하고 UAM 기술 연구개발(R&D)과 투자에 나섰으며, 최근엔 UAM 기체 제조사인 조비에비에이션과 기체·서비스 플랫폼(MaaS) 등에서 협력키로 했습니다. 또, 티맵모빌리티와의 협력을 통해 UAM과 지상 모빌리티 서비스를 연계하는 플랫폼 구축 방안도 마련 중입니다.
KT 역시 현대자동차·현대건설·인천공항공사·대한항공 등과 UAM 생태계 구축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사업 공동 추진 및 실증사업 등에 나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K-드론시스템(UTM)을 활용해 인천국제공항 부근 관제권 내에서 2인승 UAM 기체를 비행 시연한 바 있습니다.
과연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이 국내 UAM 사업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향방이 주목됩니다.
[백지영 기자 블로그=백지영 기자의 데이터센터 트랜스포머]
뒤숭숭한 정국에도 매서운 이복현… "금융지주사 검사 결과 발표, 원칙대로 '매운맛' 유지"
2024-12-20 17:36:50[DD퇴근길] 우티, 티맵 손 떼고 우버 단독체제…넷플릭스에 올라탄 SBS
2024-12-20 17:11:09[2024 IT혁신상품] 실효성과 안정성 갖춘 제로트러스트 솔루션 'SGA ZTA'
2024-12-20 17:1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