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업 IT투자현황②] 누가 적극적이었나…주요기업 정보보호 투자 현주소
디지털 전환이 기업의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공개됐다. 정보보호산업법 개정으로 국내 631개 주요 기업의 정보보호 등 ICT 투자지표가 공개됐다. 매출액 3000억원 이상, 일평균 이용자수 일정 수준 이상인 기업들이 해당 됐다. <디지털데일리>는 이번에 발표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산업군별 IT투자 현황 및 수준 등을 점검해본다 <편집자 주>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기업들의 정보보호 투자 규모 및 활동 내역이 공개됨에 따라 누가 더 기업 및 고객정보 보호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지난 30일을 마감으로 631개 기업이 2021년 정보보호 현황을 공개했다. 정보보호산업법 개정에 따른 조치로 ▲매출 3000억원 이상 상장사 ▲일평균 100만명 이상 서비스 제공자 ▲특정 산업군(ISP·IDC·CSP·상급종합병원) 등 598개 기업에게 공시 의무가 부과됐는데, 공시 의무가 없는 기업들도 일부 정보 공개에 참여한 상태다.
공개된 정보는 기업들의 정보기술(IT) 분야에 대한 투자액과 그중 정보보호 영역에 대한 투자액, 전담인력 등이다. 각 기업들이 정보보호에 얼마나 투자를 하는지 드러남에 따라 투자를 잘 하는 기업, 그렇지 않은 기업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 투자 내역은 자회사를 뺀 개별 기업 기준이다.
◆정보보호 투자 잘한 기업, 안한 기업들 드러났다
공개 기업 중 정보보호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것은 삼성전자다. 7조2664억원을 IT 부문에 투자했고 정보보호에는 6939억원을 사용했다. SK하이닉스가 투자한 526억원 대비 13배 이상이다. 두 기업의 작년 매출액 규모는 6.5배가량으로, 삼성전자가 매출규모 대비 정보보호에 대한 투자액이 2배 수준이다. LG전자는 정보보호에 454억원 투자했다.
공공기관, 금융회사는 정보보호 공시 의무 대상에서 제외됐다. 하지만 금융 애플리케이션(앱) ‘토스’를 제공하는 비바리퍼블리카, 토스뱅크를 비롯해 우리은행, 신한금융투자, 카카오페이 등 기업은 정보보호 투자 현황을 공시했다.
투자 규모는 우리은행이 405억원을 투입하며 가장 컸다. 다만 매출 대비 정보보호에 대한 투자를 많이 한 것은 토스 측이다. 두 기업의 매출 규모가 12배 이상 차이나는 데 반해 투자액은 그렇게까지 차이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1금융권의 경우 수십년간 꾸준히 정보보호에 투자를 해왔기 때문에 한해 만의 투자 규모로 그 수준을 판단하기는 조심스럽다.
이커머스 분야에서는 쿠팡의 투자액이 가장 높았다. 쿠팡은 작년 534억원을 정보보호에 사용했는데, 정보유출 등으로 홍역을 치렀던 만큼 투자 규모를 늘린 것으로 풀이된다. 정보보호 전담 인력은 170여명을 두고 있다. 반면 중고거래 플랫폼 기업 당근마켓은 정보보호에 3.7억원만을 투자한 것으로 확인됐다. 보안 전담인력도 1명뿐인데, 한창 커지는 기업인 만큼 선제적인 정보보호 투자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카카오 대비 2배가 넘는 350억원을 정보보호에 투자했다. 카카오는 140억원이다. 두 기업의 클라우드 계열사인 네이버클라우드와 카카오엔터프라이즈도 큰 차이를 보였다. 네이버클라우드는 280억원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37억원을 정보보호에 투자했다. NHN은 정보보호에 76억원을 사용했다.
네이버클라우드가 총 임직원 798명인데 반해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1078명이라는 점도 눈길을 끌었다. 이중 정보보호 전담 인력은 네이버클라우드가 69명,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39명이다. 내년에는 클라우드 부문을 별개 회사로 독립한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까지 함께 살필 수 있을 전망이다.
“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발달장애 편견없는 세상 만드는 데 동참"
2025-04-17 17:32:41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