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수도권 '반도체 학과' 증설에 지방대 반발…온라인도 갑론을박

변재영

[디지털데일리 변재영 기자] 정부가 반도체 인력난 해소를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으로 수도권 대학의 반도체 학과 정원 규제 완화 방침을 가시화한 가운데 최근 지방대를 중심으로 한 반발 움직임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월 반도체 인력 양성 대책을 주문한 이후, 해당 주무부처인 교육부는 수도권 대학 입학정원을 늘리지 못하도록 한 '수도권정비계획법'을 개정과 함께 대학들이 그동안 구조조정을 추진하면서 줄였던 정원을 반도체학과 설립 시 늘리는 방안 등을 놓고 논의중이다.

그러자 이에 비수도권 7개 권역 127개 대학 총장들로 구성된 ‘7개 권역 대학 총장협의회 연합’은 지난 7일 입장문을 내고 반도체 학과 정원을 수도권을 제외한 9개 광역지자체 중심으로 양성할 것을 요구했다. 수도권 대학의 정원 총량 규제를 풀고, 또 유보된 정원을 활용해 반도체학과를 설립하는 것은 결국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로 지역 대학에 직접 타격을 주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게 지역 총장협의회 연합의 논리다.

정부 부처에 따르면, 현재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포함해 전국 대학의 반도체 관련 학생 정원은 연간 약 1000명 정도에 불과하다. 이에따라 지역 총장협의회측은 이와관련 대졸 인력 부족분의 30%선인 530명을 수도권을 제외한 9개 광역지자체에 속한 국·공·사립대 10여 개를 선정해 대학별로 평균 60여명씩 양성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반도체 관련 기업과 연계해 채용연계형 계약학과를 설치·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수도권 대학은 학부 학생정원을 늘리는 대신 대학 내 정원을 조정해 시스템 반도체 특화 전공을 자체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석·박사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수도권을 포함해 전국에서 관련학과 대학원 정원 확충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지역 총장협의회 연합의 요구는 지난 8일 박순애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에게 전달됐다. 다만 박 장관은 이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지는 않은 상태다.

한편 이를 놓고 온라인에선 찬반 논쟁도 달아 오르고 있다. '시장 원리에 맡기라'는 지적이 상대적으로 많다.

누리꾼들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나눠놓고 정책을 입안하는 것은 맞지않다. 지방대라도 설치 요건만 충족시키면 되는 것 아닌가', 반면 '반도체 인력 양성 정책이 고사되고 있는 지방대를 살리기위한 임시 방편의 도구로 사용되서는 안된다'고 경계했다.

또 '규제를 풀어주되 학생의 선택에 맡기면 된다', '수도권 반도체학과도 상당수가 대기업의 지원을 통한 채용 연계형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정부가 지방대에 할당식으로 배분하는 방식은 아닌 것 같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변재영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