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美, 中 반도체 따돌리기 통했다…"삼성·SK, 中 의존도 낮춰야"

김도현
- 삼성전자·SK하이닉스, 미국 투자 등으로 대응 모색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미국이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국을 제외하려는 움직임이 노골화하면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위기와 기회 사이에 선 국내 기업들은 다각도로 대비책을 강구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정부 차원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28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에 따른 한국의 기회 및 위협요인’ 보고서를 통해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의 국가별 비중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18년 30.1%에서 2021년 11.0%로 급락했다. 같은 기간 대만은 9.7%에서 17.4%, 베트남은 2.6%에서 9.1%, 말레이시아는 24.0%에서 26.4%, 한국은 11.2%에서 13.2%로 늘었다.

숫자에 대한 기준은 원산지로 추정된다. 중국이 큰 폭으로 떨어진 데는 현지 반도체 수탁생산(파운드리) 업체의 미국 고객사 물량이 줄어든 영향도 있겠으나 TSMC 등 중국 공장을 둔 외국 기업이 현지 생산량을 축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역시 중국 공장을 운영 중인 가운데 몇몇 공정을 한국 사업장에서 진행하는 등 일부 프로세스 변화가 이뤄진 것으로 파악된다. 쉽게 말해 최종 패키징을 국내에서 했다면 한국 비중이 늘어나게 되는 원리다.

상승 폭 1위인 대만의 경우 화웨이 등 중국 고객 대신 애플, AMD, 퀄컴 등 미국 고객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한 효과가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반사이익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나라 업체들은 여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기본적인 공정은 중국에서 처리하되 극자외선(EUV) 등 최신 기술은 국내 라인에서 해결하는 방법, 미국 투자 확대 등이 대표적이다.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오스틴에 이어 테일러 공장 구축에 돌입했고 SK하이닉스는 내년 상반기 중 미국 내 첨단 패키징 시설 부지를 선정할 방침이다. 양사는 각각 수십~수백조를 투입했다.

같은 맥락에서 미국은 반도체 시설 투자 기업에 세액공제율 25%를 적용하는 등 자국 내 신공장 유치를 위해 적극적인 모습이다. 반도체 생산기지의 아시아 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설계에 이어 제조 주도권까지 가져오겠다는 심산이다.

이에 무역협회는 국내 반도체 기업 설비투자 위축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액공제율 확대 등 투자환경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국회가 통과시킨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에는 대기업 세액공제를 6%에서 8%로 향상했으나 경쟁국 대비 턱없이 부족하다는 평가다.

무역협회는 “미국과 대만은 관련 투자에 대해 25% 세액공제를 지원할 예정이어서 한국 반도체가 경쟁에서 뒤처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대중국 교역의존도가 주요국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의존도는 25.3%로 일본(21.6%), 미국(8.6%), 독일(7.6%) 등보다 높다. 반도체로 한정하면 더욱 두드러진다. 메모리와 시스템반도체 수출 물량 중 중국 비중(지난해 기준)은 각각 43.6%, 32.5%다.

무역협회는 “미국 주도 공급망 재편에 참여하면서 중국과 마찰이 발생한다면 우리나라 반도체 최대 수요국인 중국으로의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면서 “중국이 우리나라 반도체 수입을 제한하는 등 보복성 경제제재에 나서면 전반적인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도현
dobest@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