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A명암]②K배터리, 美 전기차 움켜쥘 수 있나…변수는 中·日 [소부장박대리]
- 중국 광물 리스크·FEOC 변동성 상존
- 중국·일본 배터리, 미국 공략 기회 모색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국내 배터리 3사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전기차 보조금 지급 관련 세부 지침 공개 이후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다만 리스크 요인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다. 2년 내 중국산 광물을 배제해야 하는 동시에 일본과 중국의 직간접적인 공세를 견뎌야 한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가 발표한 해당 지침에 따르면 7500달러(약 980만원)의 전기차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배터리 핵심광물과 부품 비율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광물 40% 이상은 미국 또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나라, 부품 50% 이상은 북미에서 생산한 것만 인정된다.
이러한 조건은 오는 18일부터 적용된다. 당장은 현지 배터리 시장 공략에 큰 문제는 없으나 2025년까지 공급망 재편이 불가피하다. 중국·러시아 등 해외우려기업(FEOC)에서 조달한 부품은 2024년부터, 광물은 2025년부터 사용할 수 없도록 했기 때문이다.
◆中 장악한 배터리 광물…업계 “단기간 극복 쉽지 않아”
한국으로서는 광물 분야가 해결 과제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현재 리튬(58%), 코발트(64%), 흑연(70%) 등 주요 광물의 중국 의존도는 절반을 훌쩍 넘는다. 특히 하이니켈 배터리에 쓰이는 수산화리튬은 지난해 중국 비중이 약 88%로 전년대비 4%포인트 이상 늘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배터리 제조사는 물론 양극재 등 소재사까지 중국 외 지역에서 광물 구매계약을 체결하는 등 다변화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2년도 남지 않은 시간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FEOC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지 않은 점도 불안 요소다. 중국에서도 어떤 기업이 포함되고 예외가 될지, 국내 기업과 협력 중인 아르헨티나와 인도네시아 등 미국과 비(非)FTA 체결국이 수혜 대상이 될지 등에 따라 국내 배터리 업계의 희비가 엇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우려대로 FEOC에 모든 중국 회사가 들어간다면 수년간 혜택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진다.
양극재 업체 관계자는 “진작부터 중국산을 안 쓰려고 노력해왔으나 1~2년 내 제로화하는 건 말이 안 된다. 우리뿐만 아니라 다른 토종 업체들도 당분간 해소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미국이 FEOC 관련 세부 조항을 섣불리 결정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미국 내 점유율이 상당한 한국 배터리가 당장 중국을 털어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자국 전기차 산업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에서다.
대기업 IT서비스 수장들, 변화보다 안정?…연말인사 관전포인트
2024-11-15 12:31:32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글로벌 눈높이 맞는 주주환원 이행”… 홍콩서 해외 IR
2024-11-15 12:28:22[尹정부 ICT점검] 불복소송전에 송무팀 필요성↑…개인정보위 "이르면 연초 전문인력 구성"
2024-11-15 12:27:41수능지문 속 링크 들어가니 '尹퇴진집회' 안내 …"도메인 구입 후 악용"
2024-11-15 11:26:46'최대 실적'에도 웃을 수 없는 케이뱅크… 내년 초 IPO 흥행엔 여전히 의문부호
2024-11-15 11: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