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방송

KT클라우드, "AI 풀스택 경쟁력 확보"…내달 리벨리온 AI칩 선보여

강소현

[디지털데일리 강소현 기자] “kt cloud는 자사 초거대AI 모델 ‘믿음’을 기반으로, 차세대 AI플레이어들과 협력해 AI 생태계를 활성화해나갈 계획입니다.”

kt cloud 윤동식 대표<사진>는 18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진행된 ‘kt cloud summit 2023’에서 “초거대 AI 시대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어떻게 잡아야 할 지 고민이 많으실 듯하다”라며 이 같이 밝혔다.

이날 kt cloud summit 2023은 ‘디지털 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AI Cloud, Cloud, IDC 산업’을 주제로 진행된 가운데, kt cloud는 인공지능(AI)·클라우드(Cloud)·데이터센터(IDC)를 주제로한 3개의 키노트를 통해 자사 산업 동향과 전략이 국내외 업계 관계자 1000여명에 공유했다.

kt cloud,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아우르는 'AI 풀스택 사업자'

이날 첫 번째 키노트 발표자로 나선 kt cloud 윤동식 대표는 AI 비즈니스의 연속성을 실현하려면 ‘AI 기반 디지털 혁신’과 ‘IT서비스의 안정성’이 중요하다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 하이퍼스케일(Hyperscale AI)과 고객 맞춤형 클라우드, Resilient 인프라 등을 꼽았다.

윤 대표는 특히, KT의 AI사업 핵심 전략인 ‘AI 풀스택(Full Stack)’을 강조했다. AI 인프라 구축부터 서비스까지 AI 비즈니스에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KT는 반도체 설계 기업인 ‘리벨리온’과 AI 인프라 솔루션 기업 ‘모레’ 등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 대규모 'GPU팜'을 구축하고 전용 반도체를 개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윤 대표는 “AI 풀스택 사업자로서 고성능·대용량 AI 컴퓨팅 자원을 실시간으로 맞춤 제공해 고객의 AI 혁신을 가속화하겠다”라며 “전 세계적으로 AI가 소모하고 있는 비용·전력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kt cloud는 고효율 AI를 위한 고성능·저전력 메모리칩을 개발하고 있다. 기존 칩 대비 전력 사용량은 5분의 1 수준이지만 성능은 그 이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리벨리온이 개발한 칩도 이르면 5월 말쯤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윤 대표는 자사 AI 인프라의 안정성도 거듭 강조했다. kt cloud는 전국 13곳에 데이터센터(IDC)를 두고 있는 가운데, 데이터센터 연결 효율 극대화를 통해 재해복구(DR)를 실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윤 대표는 “모든 사업자분들이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세컨드 데이터센터 구축이나, 클라우드 백업 등을 고민하고 계실 것 같다. 하지만 개별 사업자가 DR을 구축하긴 쉽지 않다”라며 “KT의 데이터센터는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여 있어 특정 데이터센터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 다른 모든 데이터센터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된다”고 제안했다.

◆ 초거대 AI 모델 '믿음' 활용사례 공유…지니버스에 'AI NPC' 도입 예정

초거대AI ‘믿음’(MIDEUM·Mindful Intelligence that Dialogs, Empathizes, Understands and Moves)의 활용 사례도 공유됐다. 전세계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앞다퉈 AI의 덩치를 키우는데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믿음은 ‘공감하는 AI’를 표방했다.

KT 융합기술원 AI2XL연구소 배순민 소장은 “KT는 초거대AI ‘믿음’을 몇 년전부터 준비해왔다”라며 “3년 전 디지털플랫폼기업(DIGICO·디지코)으로의 전환을 선언한 이후 통신 기반 플랫폼과 고객 공간 혁신 플랫폼, 산업 혁신 플랫폼 등 자사 서비스에 AI를 적용해왔다”고 전했다.

배 소장은 대표적인 활용 사례로 ‘인공지능 스마트 컨택센터(AICC)’을 꼽았다. KT는 고객과의 원활한 전화상담을 지원하기 위해 AICC를 활용하고 있다. AICC는 음성인식·텍스트분석·대화엔진 등의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센터의 전체 업무를 최적화한 시스템이다.

오은영 박사의 상담 데이터를 활용한 ‘오은영 AI 육아상담 서비스’도 소개됐다. 믿음이 오 박사의 전문지식과 상담 노하우를 학습해, 고객에 육아상담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상담이 끝난 뒤에는 ‘금쪽 솔루션’과 함께 관련 VOD를 즉시 제공한다.

향후 ‘믿음’의 활용 계획도 전했다. 당장은 오픈베타(시범 서비스) 버전으로 선보인 B2C 메타버스 플랫폼 '지니버스'에서 공감대화가 가능한 AI NPC(Non-Player Character, 컴퓨터가 조작하는 캐릭터)를 선보인다는 목표다.

배 소장은 “누구나 쉽게 AI를 경험할 수있는 AI개발 실험실 ‘지니랩스’를 통해 지난해 11월까지 총 22종의 인터페이스(API)를 공개했다. KT 내부는 물론, 외부기업들도 공개된 API를 활용해 여러 실험들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라 “앞으로 10년, 짧게는 2~3년 안에 정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변화의 주역이 여러분들이 되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 민간 클라우드 위에 '디지털플랫폼정부'…"윈윈 모델 구축이 핵심"

이날 초거대 AI 시대 도래에 따른 정부의 정책 방향도 공유됐다. 앞서 정부는 오픈AI의 ‘챗GPT’가 연 초거대 AI 시대에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지능정보사외진흥원(NIA) 황종성 원장은 “지난 30년 동안 현실 세계를 사이버 공간으로 옮기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가 진행됐다면, 앞으로는 사이버 공간의 데이터를 현실 공간으로 가져오는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사회운영체계(Data-Driven Society)가 구축될 것”이라며 “비즈니스는 물론 사회 전체가 데이터에 기반하고, 이런 사회는 클라우드에 의해 연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이름 그대로 디지털 중심의 국정운영을 의미한다. 현재는 서로 구분되어 있는 정부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해 업무 효율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무엇보다 민간 클라우드에 정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핵심이다. 우수한 품질·기술력·전문성을 보유한 민간 클라우드를 우선 이용해 공공 서비스 혁신을 선도함과 동시에, 민간 클라우드 시장을 키우는 ‘윈윈’ 모델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적절한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가 없는 경우에는 PaaS(서비스형 플랫폼) 기반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 구현으로 개발시간과 비용을 절감한다고도 부연했다.

황 원장은 “상부상조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적으로 만들어야 공공은 물론, 이 산업도 크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라며 ”(디지털플랫폼정부를 통해) 공공 부문의 자원을 효율화하고 지속 가능하게 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총 15개 분야별 전문 기업이 행사장 내 전시에 참여했다. kt cloud 전시 부스에서는 초거대 AI 모델 개발을 위해 대규모 GPU 자원을 종량제 방식으로 제공하는 HAC, 기업이 원하는 다양한 유형의 안정적인 백업 환경을 소개하는 DR 서비스, 가상 데스크톱과 앱을 통해 유연한 근무환경을 제공하는 DaaS 서비스가 관심을 모았다.

강소현
ksh@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