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솔루션

'챗GPT' 오픈AI "규제 생겨도 유럽 안 떠난다"

서정윤 기자

[디지털데일리 서정윤 기자]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전 세계적으로 규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 챗GPT를 만든 오픈AI가 유럽연합(EU)에 'AI법'이 생겨도 떠나지 않겠다고 밝혔다.

27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샘 알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트위터를 통해 "유럽을 떠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앞서 알트먼 CEO는 EU가 추진 중인 AI법에 크게 우려하며 "법을 지키기 어려울 경우 서비스를 중단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EU는 2021년부터 AI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생성AI가 각광받기 시작한 지난해에는 법안에 창작자들이 기업에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내용을 추가했다. 추진 중인 AI법에 따르면 기업은 AI 기술에 사용된 원 저작물을 공개해야 한다.

당초 EU는 생성AI가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제하려 했다. 다만, 법안 통과를 위해 저작물 공개로 물러선 상황이다. 기술이 어떤 영역에 추가돼 사용되는지 통제하기 힘들 경우, 일정 부분 책임지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생성AI가 개인정보를 보호하지 못한다며 개인정보보호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탈리아 규제당국은 지난 3월 챗GPT가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사용한다고 판단, 임시 접속 금지 조치를 내렸다. 이탈리아의 데이터 규제기관인 가란테는 "개인 이메일주소와 신용카드의 마지막 4자리 숫자 등 개인정보가 부분적으로 노출됐다"고 말했다.

당시 오픈AI는 챗GPT의 유료 서비스인 '챗GPT 플러스' 사용자의 1.2%가 개인정보 유출 문제에 포함된 것으로 파악했다. 서비스 개시를 위해 사용자를 위한 개인정보보호조치를 추가했다.

미국에서도 생성AI를 규제하기 위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미 상무부 산하 통신정보관리청(NTIA)은 최근 AI 시스템 규제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AI의 책임과 관련해 업계의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AI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지난달부터 생성AI를 규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관련 회의를 주재하며 "테크 기업들은 제품을 대중에 공개하기 전, 안전하게 만들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오픈AI에 100억달러(한화 약 13조3000억원) 가량을 투자한 마이크로소프트(MS)는 AI 규제를 위한 정부 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브래드 스미스 MS 최고법무책임자는 최근 자신의 블로그에 "AI를 이용해 사람들을 속이려는 의도로 합법적인 콘텐츠가 변경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정윤 기자
seojy@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