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퇴근길] 삼성SDI, GM과 美 합작법인 본계약…6800억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사업 나온다
디지털데일리가 퇴근 즈음해서 읽을 수 있는 [DD퇴근길]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하루동안 발생한 주요 이슈들을 퇴근길에서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전체 기사는 ‘디지털데일리 기사 하단의 관련뉴스(아웃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기정통부, 내년 예산 19조원 편성…역대 최대 규모
[채성오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가 내년도 예산안을 총 19조원으로 편성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이는 전년(17조9000억원) 대비 5.9% 증가한 규모인데요. 내년 예산안을 발표한 과기정통부는 기술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R&D예타 폐지를 추진하고, 혁신·도전형 R&D 지원체계를 도입하는 한편 글로벌 R&D 제도개선 등을 추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통해 과기정통부는 내년 R&D 예산을 올해 8조4000억원 대비 16.1% 증액된 9조7000억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R&D 예산이 감액되기 전인 지난해(9조1000억원) 규모를 6.5% 상회하는 수준으로, 선도형 R&D로의 전환을 통한 국가 미래도약을 가속화한다는 정책 방향 하에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R&D 시스템 개편을 통한 내년도 과기정통부 중점 투자 분야는 ▲선도형 R&D 지원 ▲AI·디지털 혁신 ▲핵심인재 양성 및 기초연구 확대 ▲전략적 국제협력 강화 등으로 분류됩니다.
“대표가 해외로 도피?” 컬리, 근거 없는 낭설 일축…법적 조치 검토
[왕진화기자] 최근 X(옛 트위터)를 중심으로 오늘의집이 자본 잠식 상태로 재무적으로 위험한 상태이며, 컬리 역시 채무로 인해 김슬아 대표가 해외로 도피했다는 등의 추측성 글이 돌았습니다. 이에 컬리는 “김슬아 대표의 해외 도피 등 근거 없는 소문이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는데,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소문을 일축했는데요. 실제로 김 대표는 지난 27일 오후에도 회의를 주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늘의집 역시 이날 입장문을 내고 “최근 오늘의집이 판매자 정산금을 미지급하고 있다는 등 근거 없는 소문이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어 바로잡는다”며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오늘의집은 그동안 충분한 유동자금을 기반으로 월 2회 정산을 진행해왔고, 이달 초에는 파트너사를 위해 정산금 선지급도 진행한 바 있는데요. 오늘의집은 “이같은 허위 사실 유포에 당사는 강력한 법적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삼성SDI, GM과 美 합작법인 본계약 체결…최대 연 36GWh 규모 [소부장박대리]
[고성현 기자] 삼성SDI(대표 최윤호)와 제너럴모터스(이하 GM)가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을 확정했습니다. 삼성SDI는 GM과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하고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발표했습니다.
양사는 지난해 3월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부지 선정 등 세부 사항에 대한 협의를 진행해 왔습니다. 이후 양사는 2027년 양산을 목표로 약 35억달러(약 4조6500억원)를 투자해 초기 연산 27기가와트시(GWh) 규모 공장을 설립키로 했습니다. 연산 규모는 향후 36GWh까지 확대됩니다.
합작법인 위치는 인디애나주 뉴칼라일(New Carlisle)로 확정된 바 있으며, 부지 규모는 277만 제곱미터(약 84만평)이다. 양사 합작법인 설립은 1600개 이상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양사 합작법인에서는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기반 고성능 하이니켈 각형이 생산돼 향후 출시될 GM 전기차에 탑재됩니다.
삼성SDI의 각형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밀도로 주행거리를 높이는 한편, 금속 재질 외관과 안전장치(Vent)를 탑재해 안전성 측면 강점을 높였습니다. 삼성SDI는 GM과의 합작법인을 통해 북미 전기차 시장 점유율 확대 발판을 마련하고, 최고의 품질과 안전성을 갖춘 각형 배터리 채용 고객사를 늘릴 계획입니다.
모바일부터 TV·가전까지…삼성전자, 온디바이스 AI 전략 '종횡' 확장
[옥송이 기자] 삼성전자가 모바일에 이어 가전에서도 AI 강자 자리를 노립니다. '갤럭시 AI'에 힘입어 AI폰 대세 자리를 꿰찬 데 이어, 가전과 TV 부문에도 AI 외연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올해를 AI 원년으로 삼았습니다. 시작은 단연 모바일입니다. 갤럭시 AI가 탑재된 첫 온디바이스 AI폰인 갤럭시 S24 시리즈를 연초 선보인 뒤 성공적으로 안착시켰고, 지난달 AI폴더블폰인 Z플립·폴드6 시리즈를 내놓았습니다.
모바일 온디바이스 AI인 '갤럭시 AI'는 비단 플래그십에서만 머무르지 않습니다. 이달부턴 중저가 라인인 갤럭시 A 시리즈에도 갤럭시 AI의 일부 기능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플래그십부터 최신 기능을 제공한 뒤 중저가 라인까지 AI기능을 널리 보급하는 것이다. 즉, 한 제품군의 경우 종(세로)으로 그 깊이를 더하는 방식입니다.
모바일에서 차지한 AI 대세는 횡(가로)으로 확장합니다. 생활가전 제품과 TV에도 AI 기능을 늘리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갤럭시 AI가 모바일에서 제공하는 번역과 흡사한 수준의 번역을 TV에서도 구현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온디바이스 AI가 해당 기능을 지원할 것임을 시사했다. 김용재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개발팀장은 "번역은 실시간 대응을 해야하기에 온디바이스 AI가 중요하다"며 "추가적으로 음성 번역 기능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AI TV·가전에 있어 자체 운영체제인 '타이젠 OS'의 존재감을 한층 부각합니다. 이를테면 삼성의 AI홈 구상은 타이젠OS에 기반한 제품을 연결하는 것이 첫 단추인데요. 기기간 연결 후에는 스크린 에브리웨어를 비롯해 스마트포워드 등의 각종 AI 전략 구사가 가능합니다.
아울러 자사 음성비서인 빅스비도 AI로 고도화해 TV와 가전에 탑재합니다. 새로워진 빅스비는 자연어를 기반으로 맥락을 이해한다. 과거 한 가지 명령만 인지했으나, 고도화된 빅스비는 한 문 장에 여러 명령을 담아도 발화자의 의도를 인지합니다.
6800억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사업 나온다…공공SW 시장 ‘촉각’
[권하영기자]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 중 역대 최대 규모로 꼽히는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구축 사업이 5년 만에 총사업비 6807억원으로 예비타당성(예타) 조사를 통과했습니다. 2019년부터 해당 사업을 추진해온 행정안전부는 이번에 5전6기로 5년 만에 예타 통과에 성공한 것인데요. 17개 광역시도 공무원이 사용하는 ‘시도행정시스템’과 228개 시군구 기초단체 공무원이 사용하는 ‘새올행정시스템’을 통합 개편하는 이번 사업으로 각각 2004년과 2006년에 개통된 이후 20년 가까이 노후화된 시스템들을 전면 개선하게 됩니다.
총 6800억원에 이르는 대형 공공 SW 사업이 나오게 되는 만큼, 주요 IT서비스 기업들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번 차세대 사업은 대기업 참여제한 예외 사업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이며, 일부 대기업은 벌써부터 컨소시엄 구성을 위한 검토에 돌입했다는 얘기도 들립니다. 대규모 공공 레퍼런스를 쌓을 기회인 만큼 관심이 높은 분위기입니다. 중견·중소기업들도 주 사업자 또는 대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참여를 타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일부 기업들 사이에선 신중한 기류가 읽힙니다. 대형 공공 SW 사업은 사업 수행 난이도가 높은 반면 투자 대비 수익성은 낮아 오히려 유찰되는 경우가 적지 않거든요. 공공 SW 사업을 수행했다가 발주기관의 불합리한 관행으로 소송까지 이어지는 사례도 사실 빈번합니다. 업계 관계자는 관계자는 “본사업에 앞서 컨설팅 사업부터 나오게 될 텐데 구체적인 사업 규모나 향후 세부 방향 등을 살펴봐야 할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금융AI, 혁신·리스크관리 모두 잡으려면? “정부·금융사 공동대응이 핵심”
[오병훈기자] 금융분야 인공지능(AI) 활용이 활발해지면서 세계적으로 금융 디지털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데요. 금융권은 AI 활용 잠재력이 높지만, 그만큼 이용자 정보 유출 등 위험성도 존재합니다. 혁신과 리스크 관리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서는 정부와 금융사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28일 김옥선 금융결제원 금융데이터융합센터장은 금융위원회가 주최한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4’에서 ‘AI로 진화하는 금융산업, 도약의 기회’를 주제로 발표하며 금융사와 정부 공동 대응 중요성을 강조했죠.
구체적으로 ▲정부는 AI 활성화 정책으로 인프라 조성 공공 데이터 마련, 규제 개선을 ▲금융업권은 AI 이용 사례 확대와 투자 확대, 윤리 경영과 같은 거버넌스 마련을 ▲유관기관은 기술 정보공유, 학습 지원, 금융권 공동 AI 데이터 구축 등 각자 자리에서 가능한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주담대 채무불이행자 비율도 '상호금융'업권이 가장 높아…"종합 리스크관리강화 필요"
2025-01-19 12:00:00취임앞둔 트럼프, 가상화폐 정책 우선순위 발표 나오나… 비트코인 10만4천달러선 회복
2025-01-19 11:37:15‘오피셜 트럼프’ 밈코인(meme) 발행 소식… 시총 4위 솔라나 20% 가까이 폭등
2025-01-19 11:34:14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한국 경제 견고, 밸류업 일관되게 추진"… 투자자들에 서한
2025-01-19 10:20:58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베인캐피탈 최고경영진과 미팅…"국내 경제 펀더멘탈 굳건해"
2025-01-19 10: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