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케이뱅크를 향한 싸늘한 시선들… IPO 흥행 부진속 꺼지지 않는 '업비트 리스크'

권유승 기자
케이뱅크 본사 전경. ⓒ케이뱅크
케이뱅크 본사 전경. ⓒ케이뱅크

[디지털데일리 권유승 기자] "업비트 없이 케이뱅크가 생존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들어요."

상장을 앞둔 케이뱅크를 향한 싸늘한 시선이 커지고 있다.

수요예측 흥행 부진 속 '과도한 업비트 의존도' 등 케이뱅크의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회의적인 의견들이 쏟아지면서 향후 상장 철회 관측까지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감독원 대상 국정감사에선 케이뱅크의 과도한 업비트 의존도를 우려하는 지적들이 줄줄이 나왔다.

이날 이강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케이뱅크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있다"며 "그런데 업비트의 지분율이 너무 크다. 거의 20%에 육박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여기서 의미하는 지분율은 고객 예수금에서 차지하는 업비트의 비중이다.

실제로 올해 반기 기준 21조원 상당의 케이뱅크 고객 예수금 중 4조원가량을 업비트가 차지하고 있다는 것.

이 의원은 "이런 경우를 본 적이 없다"며 "일반 은행에서 이 정도로 특정 업체의 자금이 크게 편중 돼 있는 것을 (왜 그런지) 잘 모르겠다"고 의문을 던졌다.

그러면서 "업비트 예치금 3조800억원에 2.1%를 (수수료로) 주게 되면 867억원이 나가게 되는 것"이라며 "그러면 (케이뱅크의) 반기 수익을 다 줘야 한다는 얘기가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 의원은 케이뱅크가 일반 은행이 아닌 특정 기업을 위한 사금고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구심도 표했다.

또한 50%에 달했던 케이뱅크의 업비트 수신 비중이 지난해 18% 수준으로 낮아진 것과 관련해서도 "아직도 멀었다"는 반응을 내비쳤다.

이 의원은 "(업비트 비중이) 18.1%도 상당한 편중인데, 이것을 두고 (업비트 의존도가) 해결 됐다고 얘기할 수 있냐"고 반문했다.

이와 관련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케이뱅크의 리스크 요인들에 대해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공감했다.

이 원장은 "(케이뱅크의 업비트 비중이) 은행의 건전성이라든가 운영상 리스크 측면에서 보면 여전히 중요한 리스크 팩터인 건 맞다"며 "투자자보호나 은행의 건전성 측면에서 IPO 이슈를 잘 챙겨보겠다"고 말했다.

◆케이뱅크 기업가치 의구심 여전…수요예측 흥행 저조에 상장 철회 가능성까지도 제기

이 같은 케이뱅크의 '업비트 리스크' 우려는 과거에도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던 부분이다.

특히 가상자산 시장이 침체될 경우 급격한 자금 유출은 불가피 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케이뱅크의 가상자산 고객 예치금 비중이 다른 은행들과 비교해 과도하게 높아 한꺼번에 대량 인출이 발생할 경우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

오기형 의원실(더불어민주당)이 제공한 '가상자산거래소 고객 예치금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케이뱅크·카카오뱅크·NH농협은행·신한은행·전북은행 등 가상자산거래소와 제휴하고 있는 은행들의 가상자산사업자 이용자 예치금(5조27억원) 중 무려 75%를 케이뱅크가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같은 기간 케이뱅크의 총 원화예수금 대비 가상자산사업자 이용자 예치금 비중은 17%로 다른 은행들 대비 압도적인 수치를 보였다.

이 외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른 이자 부담 상승 ▲가계대출 조이기 기조 속 사업자·기업대출 확대에 따른 건전성 부담 등 케이뱅크의 기업가치를 위협하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여전히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케이뱅크의 IPO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지난 16일 마감한 케이뱅크의 수요예측에 대해선 "흥행이 부진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케이뱅크가 제시한 희망 공모가 범위는 9500~1만2000원 수준인데, 수요예측에 참여한 대다수 기관투자자들은 하단 가격 또는 그 미만의 가격에 주문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하단 가격마저 비싸다고 생각한 일부 기관들은 아예 수요예측에 참여하지도 않았다는 후문이다.

이에 케이뱅크의 최종 공모가가 하단 가격 미만으로 결정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상장 철회 가능성까지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전날 국감에서도 케이뱅크의 성급한 IPO를 우려하는 발언들이 쏟아졌다.

이 의원은 "이런 형태로 케이뱅크가 IPO에 성공을 한다면, 이는 잠재적 위험 행위이고 사실상 시한폭탄이나 마찬가지"라며 "은행이 정상화 된 이후에 IPO를 해도 늦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케이뱅크가) 지금 너무 무리하게 하고 있다"며 "게다가 시장에서도 가격을 너무 높이 보고 있는데, 이게 전부 개미 투자자들한테 피해로 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고 덧붙였다.

한편 케이뱅크는 지난 15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업비트 우려'에 대한 사측의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날 최우형 케이뱅크 회장은 "업비트 예치금은 대출 재원으로는 한 푼도 쓰지 않으며 완전히 별도의 펀드로 케이뱅크 내부에서 관리하고 있다"며 "업비트에 예치한 자금들은 고유동성의 안정적인 운영처인 머니마켓펀드(MMF), 국공채 등에만 정확하게 매칭시켜 운영하기 때문에 (업비트 예치금이 빠져도) 뱅크런 사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권유승 기자
kys@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