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을 구해줘]③ 믿었던 너마저…흔들리는 토종 SNS
[편집자주] 토종 플랫폼 침체기가 지속되고 있다. 인스타그램과 유튜브와 같은 해외 SNS 사용 시간이 네이버와 카카오톡을 앞지른 지 오래이며, 최근 몇 년간 우상향 실적을 내도 주가는 요지부동이다. 배달의민족과 쿠팡, 명품 플랫폼 등 유통업계 역시 다양한 도전과 과제에 직면해 있다. ‘티메프 사태’ 이후 플랫폼 규제론이 다시 동력을 얻은 가운데 <디지털데일리>는 이러한 플랫폼 업계의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고, 전망을 살펴본다.
[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토종 플랫폼들이 매년 빠른 속도로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는 해외 플랫폼 공세에 흔들리고 있다. 인공지능(AI) 개인화 추천과 숏폼(짧은 영상) 기능 확대 등 이용자 유치 전략에도 불구하고 수요 측면에서 고전 중이다. 업계는 경직된 플랫폼 규제 환경을 개선해야 국내 플랫폼들의 신성장 동력이 제 힘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한다.
31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가 각각 운영하는 포털과 카카오톡을 비롯해 음원 스트리밍 등 콘텐츠 영역에서 국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 지표가 대거 하락 중이다. 같은 기간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등 해외 플랫폼 사용 시간이 급증한 것과 대조적이다.
앱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스마트폰 사용자를 표본 조사한 결과, 지난달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앱은 ▲유튜브(18억109만5000시간) ▲카카오톡(5억2737만5000시간) ▲인스타그램(3억7893만1000시간) ▲네이버(3억2973만2000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건 지난 1년간 인스타그램 성장세다. 국내 이용자들의 인스타그램 사용 시간은 3억7893만1000시간으로, 작년 같은 기간(2억6666만2000시간)에 비해 42.1%(1억1226만9000시간) 급증했다. 20%를 웃도는 이 증가율은 10위권 앱 중에서도 유일하다.
인스타그램은 지난 4월 네이버를 제치고 3위로 올라선 이후 6개월째 순위를 지키고 있다. 유튜브도 작년 9월과 비교해 올해 9월 국내 이용자 사용 시간이 9.5%(1억5558만5000시간) 증가하며 1위를 유지했다.
반면 토종 플랫폼들은 국내 이용자 사용 시간이 전년동기대비 모두 하락했다. 카카오톡은 2위를 지켰지만, 사용 시간은 작년 동기(5억4534만4000시간)에 비해 3.3%(1796만9000시간) 감소했다. 네이버 사용 시간은 3억2973만2000시간으로 9.7%(3554만3000시간) 줄었다.
검색엔진 시장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토종 검색엔진이 한자릿수 감소세를 기록할 때 글로벌 검색엔진은 한자릿수 성장했다. 웹사이트 분석업체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까지 평균 검색 점유율 순위는 ▲네이버(57.30%) ▲구글(33.92%) ▲다음(3.86%) ▲빙(2.92%)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최대 포털인 네이버가 여전히 1위를 지키고 있지만 성장세가 한풀 꺾인 지 오래다. 올해 네이버와 다음 점유율이 각각 1.54%, 1.32% 감소했을 때 구글은 2.28%, 빙은 1.56% 증가했다. 글로벌 검색엔진들이 국내 점유율을 조금씩 늘리는 상황에서 퍼플렉시티와 챗GPT 등 신규 AI 서비스를 바탕으로 검색 시장에 진출하는 IT 기업도 늘고 있다.
최근 외신에 따르면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운영사인 메타도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자체 AI 기반 검색엔진을 개발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업계도 구글이 운영하는 유튜브뮤직에 사실상 잠식됐다.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유튜브뮤직(753만3239명) ▲멜론(693만888명) ▲지니뮤직(288만8758명) ▲플로(217만9131명) ▲스포티파이(81만9703명) ▲네이버 바이브(60만5492명) ▲NHN벅스(36만2438명) 순이었다.
지난 2022년 1월 408만명에 불과했던 유튜브뮤직 MAU는 2년 만에 200만명 이상 늘어나며 멜론을 제친 뒤 국내 음원 플랫폼 1위에 안착했다. 국내 음원업계는 구글코리아가 광고 없이 영상을 볼 수 있는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제에 유튜브뮤직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 시장지배력을 키웠다고 반발했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작년 2월 구글코리아를 대상으로 관련 의혹 조사에 나선 뒤 1년 6개월 만에 심사보고서(검찰 공소장 격)를 발송하며 제재 절차에 착수한 바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해외 기업 공세 속 토종 플랫폼 침체기를 타개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법으로 규제 완화 필요성을 강조한다. 제22대 국회 개원 이후 온라인 플랫폼 규제 입법이 무더기로 이어지면서 실제 입법화 여부에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플랫폼 법안을 총 16건 발의했고, 여당인 국민의힘도 네이버, 카카오, 구글, 애플에 배달의민족까지 규제 대상을 넓힌 ‘공정거래법 개정안’을 지난 28일 발의했다.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디지털경제연구원은 이날 발간한 이슈페이퍼를 통해 “티메프 사태 등 사회적 사건에 즉각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압박으로 정책 결정이 성급해지는 경향 등이 존재한다”며 “이로써 기업들의 자율적인 경영 활동이 제약을 받게 되며 신산업 육성과 기술 혁신 동력이 저하돼 궁극적으로 국가 전반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LG 임원인사] ② '전원 유임' 안정 택한 소부장 사각 편대…미래 효율 강화 '방점'
2024-11-21 18:43:49[LG 임원인사] ① '기업가치 동분서주' 조주완 LG전자 유임…유니콘 사업 '탄력'
2024-11-21 18:43:39LG헬로 송구영 대표이사 재선임…사업 수익성 개선 '총력'
2024-11-21 18:33:01LG그룹, 2025년 임원 인사 단행…AI·바이오·클린테크 '미래준비' 초점
2024-11-21 18:13:24AI 기본법 법안소위 통과…AI 제도 기반 마련 속도 내나
2024-11-21 18: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