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불러온 대전환 시대에 AI 선두 국가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기업뿐만 아니라 학계, 정부, 국회가 합심해 AI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기됐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 이노베이션 센터장(네이버 퓨처 AI 센터장)은 최근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디지털경제연구원이 이달 발간한 ‘디지털 이코노미 뷰(D.E.View)’에서 “2023년 하반기부터 생성 AI는 글로벌 기업 경쟁을 넘어 미래 국가 경쟁력을 결정할 국가대항전 양상으로 흐르기 시작했다”라고 밝혔다.
각국 정부는 AI 안전성을 명분으로 새로운 질서를 만들기 위한 리더십 선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동시에 자국 기업에 막대한 투자를 함으로써 기업들이 생성 AI 기술을 확보해 자국 AI 산업 생태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습이다.
미국은 이미 2021년 3월 인공지능국가안보위원회(NSCAI) 보고서로 “강대국 자리를 유지하고 적국 추격을 따돌리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통한 AI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AI 기술이 양자, 국방, 에너지, 헬스케어, 반도체 등 모든 전략산업의 도약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 권고에 따라 최근에도 미국은 ‘칩스법’ 등을 통해 인텔에 100억달러(약 14조원)를 현금지원하는 등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일본은 소프트뱅크에 2023년과 2024년에 걸쳐 약 4400억원 보조금을 지급해 초거대 생성 AI 기술 확보에 필요한 슈퍼컴퓨터를 확보하도록 지원했다.
프랑스 정부는 2025년까지 20억 유로(약 3조원)를 AI 스타트업에 지원하기로 했는데, 투자 1년 만에 기업가치 8조원에 달하는 미스트랄 같은 기업이 등장했다. 그 외 러시아, 대만, 인도, 핀란드, 네덜란드, 독일 등 국가는 물론, 중동과 동남아 국가들 또한 자국 생성 AI 확보를 통한 AI 주권을 확보하고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 중이다.
하정우 센터장은 “실리콘밸리 빅테크가 만든 생성 AI는 90% 이상 미국 인터넷문서 데이터로 학습해 미국 가치관으로 편향된 특성을 가진다”며 “이는 단순 파인튜닝만으로 해결이 어려워 문화적 특성이 다른 중동, 동남아 국가들에서는 기술 종속이 문화종속과 각 국가 정체성 약화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한국은 2021년 5월 네이버가 전 세계에서 3번째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를 공개하며 초거대 생성 AI 분야 3위 국가에 올랐으나, 현재 그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 센터장은 “생성 AI가 규모 법칙을 따르는 특성으로 인해 자본 전쟁으로 이어져 국내 기업 규모 특성상 어려운 경쟁 중이며 정부 지원도 타국 정부보다 지원 규모가 상대적으로 매우 약하다”라는 점을 이유로 꼽았다.
다만, 여전히 기회가 남아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하 센터장은 “자체 기술로 한국어 중심 다국어 초거대 생성 AI를 만들어 운영해 온 네이버, LG와 같은 기업들이 있다”며 “초거대 생성 AI는 자본만으로 되는 게 아닌, 기술적 경험이 중요하기에 기술력이 부족한 국가 정부 기업들과 협력하는 파트너가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한국 AI 개발 기업들이 중동, 아시안 국가들의 ‘소버린(Sovereign, 자주적) AI’를 만들어 주도하는 글로벌 소버린 AI 연대를 구축할 수 있다면, 국내 AI 개발 기업과 활용기업 모두 시장 규모 한계가 있는 자국 시장을 넘어 글로벌에서 큰 성장 기회를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하 센터장은 “이를 위해 AI 경쟁력 확보가 중요한데 당장 AI 인프라가 매우 부족하고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특정 기업에 직접 보조금 지원이 어렵다면 ▲역량이 검증된 기업이 대량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활용하도록 대규모 구매 및 민간 전문기업 위탁운영 ▲서비스 적용을 위한 GPU를 기업들에 저렴한 가격에 지원 ▲AI 서비스 특화된 저전력, 저비용 전용 AI 반도체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꾸준한 투자 ▲기업들이 소버린 AI로 글로벌 진출할 때 외교적 도움 ▲국민의 AI 활용 확산 위한 노력 ▲글로벌 AI 안전과 표준 논의에 적극 목소리 표출 ▲AI 규제는 ‘악성활용 방지’ 등 핀셋형태로 만드는 동시에 강력한 진흥법 시행 ▲국가 AI 전략을 수립하고 운영할 힘을 가진 조직 운영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하 센터장은 “국내 기업들 노력으로 현재까지 AI 선두 그룹에 있지만 앞으로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AI 기술 종속국, 후진국으로 밀릴 수 있다”며 “기업, 학계, 정부, 국회가 합심해 노력한다면 생성 AI 시대 G3 국가로 도약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네이버, '댓글부대 여론전' 대응 착수…"좌표찍기, 예의주시"
2025-01-24 20:44:48[DD's톡] KT 시총, SKT 넘어섰다…22년 만에 통신 대장주로
2025-01-24 16:51:46설 연휴에 뭐 보지?…케이블TV, 다채로운 특집 콘텐츠 편성
2025-01-24 16:00:16'복귀' 이진숙 방통위원장, 수신료 면제·행정처분 의결 속도
2025-01-24 11:20:44갤S25 공시지원금, 최대 24만5000원…단통법 폐지 전 마지막
2025-01-24 11:18:11[툰설툰설] 설맞이 가족애 느끼기…목린 VS 세상만 구하고 은퇴하겠습니다
2025-01-26 08:00:00매 순간 도파민 ‘뿜뿜’… MZ 게이머 입소문 탄 ‘슈퍼바이브’
2025-01-26 07:00:00춘식이의 새해 인사부터 쏠쏠 정보까지…설맞이 카카오 이용법
2025-01-25 07:00:00[DD퇴근길] 네이버, '댓글부대 여론전' 대응 착수…"좌표찍기, 예의주시"
2025-01-24 20:44:48법원은 왜 카겜 손을 들었나… “‘리니지2M’도 독창성 없어”
2025-01-24 18:2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