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3사 매출 정체·이익 감소 속사정…요금할인의 비밀
[IT 전문 블로그 미디어=딜라이트닷넷]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2011년 실적을 공개했다. 3사 모두 매출 성장이 정체된 가운데 영업이익은 뒷걸음질쳤다. 이에 대해 통신 3사는 요금인하와 롱텀에볼루션(LTE) 투자 때문으로 설명했다. 하지만 3사의 실적 감소는 사실상 마케팅비 과다 지출이 원인이다. 요금할인과 실적 공개 회계기준 변경 등이 준 착시효과다.
이를 따져 보기 위해서는 우선 요금할인의 성격에 대해 살펴봐야 한다. 스마트폰 보급과 함께 통신 3사는 요금할인 제도를 본격 도입했다.
요금할인은 약정 가입자에게 매월 나오는 통신요금의 일부를 깎아주는 것을 일컫는다. 요금할인은 방송통신위원회의 마케팅비용 가이드라인을 피해가기 위한 필요에 의해서도 도입됐다. 요금할인은 통신사가 직접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받을 매출을 할인해주는 것이어서 방통위 마케팅비 가이드라인에서 제외된다.
통신 3사의 요금할인은 3세대(3G) 이동통신 요금의 경우, SK텔레콤의 ‘스페셜할인’ KT의 ‘스마트스폰서’, LG유플러스의 ‘더블보너스’ 제도가 대표적이다.
스마트폰 가입자는 일반폰 가입자보다 가입자당평균매출액(ARPU)가 높다. 때문에 통신 3사는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하며 실적 개선을 자신했다. 영업이익은 논외로 치더라도 매출액은 증가하는 것이 정상이다. 하지만 상황은 조금 다르다. 연결기준이 아닌 개별 통신사 실적에서 전년대비 SK텔레콤 1.2% 상승, KT 1.4% 감소, LG유플러스 1.9% 감소다. SK텔레콤은 SK플래닛이 포함된 수치다. KT와 LG유플러스는 무선사업만 따졌다. 3사 모두 정체 또는 감소다.
방통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통신 3사의 스마트폰 이용자는 SK텔레콤 1108만5192명, KT 765만3303명, LG유플러스 383만9913명이다. 이동통신 재판매를 제외한 순수 통신 3사의 가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SK텔레콤 41.8%, KT 47.1%, LG유플러스 41.0%다. 기본료 1000원 인하는 SK텔레콤 9월, KT 10월, LG유플러스 11월에 실시했다. 스마트폰 가입자를 감안하면 연간 매출까지 끌어내릴 정도는 아니다. 하지만 현상은 그렇지 않다.
여기에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이라는 요인이 등장한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010년부터 SK텔레콤과 KT는 2011년부터 K-IFRS를 도입했다. 3사 모두 K-IFRS 도입 첫 분기 매출은 제자리였지만 영업이익은 급증했다. K-IFRS에서는 요금할인 부분을 매출에서 공제해 아예 매출로 계산하지 않는다. 이전 회계기준에서는 요금할인이 매출과 영업비용에 반영됐다.
즉 요금할인은 마케팅 비용이지만 매출에도, 마케팅비에도 잡히지 않는 셈이다. 결국 통신사는 요금인하 등이 없어도 매출은 전년대비 악화될 수 밖에 없다. 특히 현재 요금할인 구조를 이어간다면 스마트폰 가입자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또 이 가입자가 요금제를 유지할수록 매출에 악영향을 끼친다. 특히 가입년차가 늘어날수록 할인을 많이 해주는 KT가 문제다.
그래서 매출을 방어하기 위해서라도 통신 3사는 LTE 가입자를 늘려야 한다. LTE 요금제는 3G 요금제보다 비싸고 요금할인은 적다.
물론 가입자가 약정기간을 채우지 않고 해지한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사용자는 대부분 요금할인과 보조금을 구분하지 못한다. 편법이지만 일선 대리점과 판매점들도 요금할인을 빌미로 ‘공짜폰’ 마케팅을 했다. 요금할인이 없을 때에는 더 많이 받을 수 있었던 단말기 보조금은 줄어들었다. 약정 기간 내 해지하면 남은 단말기 비용은 사용자가 부담해야 한다. 사용자가 낸 돈 만큼 통신사는 마케팅비가 줄어든다.
SK텔레콤 하성민 대표도 지난 2일 ‘2011년 4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요금할인만큼 요금을 낮출 계획은 없냐는 질문에 “할인 후로 하든 할인 전에 하든 고객은 실질 요금을 생각하기 때문에 실효성이 없다”라며 “할인은 통신사의 마케팅 도구”라고 강조했다.
결국 지금의 매출 정체는 일종의 과도기적 현상이지 통신사업 자체 성장성이 떨어졌다고 보기는 힘들다. 요금할인 덕에 매출이 정체되니 요금인하 압박을 피할 수 있는 길도 열린다.
영업이익 감소도 여기서 기인한다. 원래 스마트폰 ARPU는 높지만 요금할인 탓에 일반폰 사용자에게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보조금 시대였다면 바로 마케팅비 과다 지출이 지적됐겠지만 요금할인은 장부상 보이는 마케팅비가 아니다. 마케팅비 통제는 영업이익 증가로 이어진다. 물론 LTE 투자비도 문제지만 투자는 일시적이다. 통상 통신사 네트워크 투자는 초기 1~2년이 피크고 이후에는 대폭 감소한다. LTE 통신 장비는 3G보다 단가가 낮다. 네트워크 구축 순수비용만 따지면 3G보다 덜 든다.
K-IFRS는 투자자에게 좀 더 투명한 기업 활동을 볼 수 있도록 도입했다. 그러나 통신업계에서는 K-IFRS가 마케팅비용을 감춰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제도의 아이러니다.
[윤상호기자 블로그=Digital Culture]
"틱톡 따라잡기"...인스타그램 피드 비율 개편에 사용자 원성
2025-01-20 21:38:16이재명 대표, 6대 은행장과 간담회… "정치권이 어떤 도움 줄 수 있는지 듣겠다"
2025-01-20 18:25:53트럼프 취임 코 앞… 비트코인, 11만 달러 돌파 목전
2025-01-20 17:40:57소액주주연대, 고려아연 '집중투표제' 도입 필요성 재차 강조… 국민연금 '찬성' 결정 거론
2025-01-20 17:40:18“소형펩리스·헬스케어 사업 강화 집중” 심플랫폼, 3월 상장 목표 공모 절차 시동
2025-01-20 17: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