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제도/정책

금융전산보안 대책에 IT업계 촉각…연계사업 발굴에 초점

이상일 기자

- 망분리, 빅데이터 분석 관련시장 활성화 예상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금융권과 IT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금융당국의 ‘금융전산 보안 강화 종합대책’이 발표됐다. 망분리 의무화와 금융 공동 백업센터 구축 등 대형 IT사업을 수반하는 내용이 포함됐지만 실제 사업은 내년 이후에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금융전산 보안 강화 종합대책’에선 망분리를 의무화했다. 특히 전산센터에 대한 물리적 망분리를 의무화해 주목된다. 당초 금융권에선 비용 부담을 이유로 논리적 망분리 사업을 진행키로 했었지만 금융당국은 중요 정보를 관리하는 전산센터의 경우 물리적 망분리를 통해 보안을 강화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에서는 은행의 본사와 지점의 경우 논리적 망분리와 물리적 망분리 중 선택해 사업을 진행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금융권의 부담을 다소나마 경감시켜 준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전산센터와 본점, 영업점까지 전체 업무 환경을 망분리한 은행은 기업은행 뿐이다. 전산센터에만 망분리를 적용한 은행은 9곳이다. 본점 망분리를 완료한 곳은 기업은행, 신한은행, 광주은행 등이 있다.

 

그동안 망분리를 추진했으나 금융당국의 종합대책이 발표되기를 기다렸던 은행들은 망분리 도입 방안의 가닥이 잡힌 만큼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금융위원회는 망분리 사업에 수십억원의 예산이 소요되는만큼 금융당국은 구체적인 망분리 적용에 대한 세부사항을 은행권과 협의해 8월 중으로 가이드라인을 발표한다는 예정이다.

 

또 전산센터에 대한 물리적 망분리 의무화 기한도 내년 말로 못박아 본격적인 망분리 사업은 내년부터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이 추진키로 한 제3백업 전용센터 구축에 대해서는 금융권의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이미 제2백업 센터 체계를 가동하고 있는 시중은행들은 비용을 들여가며 제3백업센터까지 구축을 해야 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백업체계는 많을수록 좋은 것은 사실이지만 비용효율성을 고려하면 쉽게 참여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라며 “특히 공동백업센터의 경우 관리의 문제 등 추진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금융위 금융서비스국 이병래 국장은 “은행들 같은 경우는 현재 금융결제원의 금융공동망 관련 은행들이 납부한 참가비를 예산으로 확보해 그 범위 내에서 활용할 계획”이라며 “올 하반기에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서 제3센터 구축 관련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에 IT업계는 제3백업센터 구축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을 시작으로 증권, 카드사들까지 제3백업센터 구축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제3백업센터로 이관되는 데이터의 종류 및 성격에 대해서는 TF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이지만 은행 공동으로 진행되는만큼 규모면에선 대형 사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사업 시행 시기는 유보적이어서 표면적인 움직임이 본격화되는 것은 내년 하반기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제3백업센터 가시화 시기에 대해서는 은행권에 TF를 구성해 하반기에 논의를 시작해 구체적인 방안이 협의가 되면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 추진할 계획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카드사에서 운영중인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을 전자금융거래를 취급하는 은행·증권 등으로 확대 구축키로 함에 따라 관련 프로젝트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FDS의 경우 빅데이터 분석 기법이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분야로 관련 업체들의 수주 경쟁도 치열한 상황이다. 그동안 카드사 및 보험업계를 중심으로 확산됐던 FDS가 은행, 증권까지 확대되면 일단락 됐던 FDS 시장이 다시 성장세로 전환될 것으로 업계는 관측하고 있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이상일 기자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