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 IT] 스마트 시대, 폴더폰의 재발견…삼성전자 ‘갤럭시골든’, 써보니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스마트폰 시대 물리적 키패드를 탑재한 디자인의 제품은 터치스크린만 있는 제품과 경쟁에서 초반에는 우위를 점했지만 2010년 이후 소비자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 입력 편의성보다 대화면이 주는 가치에 더 높은 점수를 줬기 때문이다.
숫자 키패드 위주 폴더폰은 문자 키패드 위주 쿼티 키패드 보다 더 찾아보기 힘들었다. 11개의 키패드로 해당 문자를 고르는 과정이 필요한 숫자 키패드와 각 문자에 대응하는 키패드가 있는 쿼티 키패드는 각각 출발점이 다르다. 숫자(전화번호)보다 문자(메시지 및 검색) 입력이 많은 스마트폰의 특성을 생각해보면 숫자 키패드 디자인(폴더폰)이 쿼티 키패드에 밀린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삼성전자가 선보인 ‘갤럭시골든(모델명 SHV-E400)’은 어찌 보면 시대착오적 제품이다. 스마트폰인데 숫자 키패드를 채용했고 폴더형 디자인이다.
그러나 갤럭시골든은 폴더폰 외부에 내부와 같은 크기의 터치스크린이 달려있다. 뚜껑을 닫으면 그냥 터치스크린 스마트폰이다. 폴더를 닫은 채로 터치스크린을 통해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전화를 받고 거는 것 역시 폴더를 열지 않아도 된다. 터치스크린 스마트폰에 폴더 키패드가 달린 형태다. 접근 방법이 반대다.
자음과 모음의 조화로 하나의 문자가 완성되는 한글은 굳이 쿼티 키패드가 필요 없다. 오히려 획을 추가하는 형태의 숫자 키패드가 더 빨리 편하게 많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스마트폰 가상 키보드도 한글은 쿼티보다 숫자 기반 키패드 이용률이 높다.
KT, 업무시스템 전면 전환…'카이로스X' 프로젝트 돌입
2025-04-20 21:50:10[AI시대, ICT 정책은③] 콘텐츠산업 육성 예산, 전체의 0.14%…"국가 전략 산업으로 키워야"
2025-04-20 16:43:07[툰설툰설] 연애 세포 살리는 로맨스…'입맞추는 사이' vs ‘내일도 출근!’
2025-04-20 14:41:20日 택시단체 "호출서비스 인상적"…카카오모빌리티와 DX 협력 모색
2025-04-20 13:47:00[IT클로즈업] 관세 태풍 속 韓CSAP…“망분리는 낡은 기술” 말한 AWS 속내
2025-04-20 10:4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