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제3정부통합전산센터 유치를 놓고 부산과 대구, 세종시 등 지차제 간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생산유발효과만 1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들 지자체는 센터 유치를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담당 부처인 안정행정부가 10월 중으로 제3센터 입지 선정을 마무리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각 지자체들은 별도의 태스크포스팀(TFT)을 꾸리고 유치를 위한 본격적인 힘겨루기에 들어갔다.
대전과 광주에 위치한 1, 2전산센터가 2~3년 내에 포화 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그동안 제3센터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안행부는 내달 입지 선정을 완료한 후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건립에 들어갈 계획이다.
지난 2005년 공식 출범한 정부통합전산센터는 대전과 광주 2개 센터에서 약 50여개 중앙행정기관의 1000여개 전자정부 업무시스템을 통합 관리, 운영하는 ‘정부 전용 데이터센터’ 역할을 맡고 있다.
현재 제3정부통합전산센터 유치를 위해 대구시와 세종시, 부산시, 강원도 평창군 등이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지난 2005년 제2센터 유치에 나섰다가 광주시에 밀려 고배를 마셨던 대구시는 이미 올초 대통령직 인수위 시절부터 수성의료지구에 제3센터를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보고한 바 있다.
세종시와 강원도 평창군도 기후나 입지조건 등 장점을 부각하며 인수전에 뛰어들었으며, 뒤늦게 합류한 부산시 역시 강서구 미음지구 내 운영 중인 ‘국가클라우드데이터센터 시범단지’를 내세워 적극 홍보에 나섰다.
부산시는 이달 초 통합전산센터 유치 자문회의를 열고 제안서 준비안을 검토하는 등 전략 수립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통합전산센터는 상시 고용 인원이 600명이 넘는 대형 시설로 연간 운영비만 1000억원이 넘기 때문에 지역 IT업체들도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수 있다”며 “특히 센터 건립비와 운영비 모두 국비로 이뤄지기 때문에 지자체로서는 비용 부담 없이 대형 공기업을 유치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안행부는 이와는 별개로 현재 충남 공주에 백업센터 구축 계획을 수립 중이다. 2015년 말로 완공이 예정돼 있는 백업센터는 벙커형 데이터센터로 지어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