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2014] 후끈 달아오른 3D 프린터, 해상도‧재료 문제 해결해야
3D 프린터는 말 그대로 입체감 있는 물체를 만들어내는 기계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RP(Rapid Prototyping)라고 부르는데 3D 캐드 모델을 가공과정 없이 곧바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NC머신을 이용해 재료를 깎고 다듬어야 했지만 3D 프린터를 쓰면 물건을 곧바로 만들어낼 수 있다. NC머신과 같은 공작기계라고 보면 된다.
3D 프린터 산업은 무궁무진하다. 산업은 물론이고 의료, 문화, 생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3D 프린터는 재료를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 SLA, SLS, FDM, LOM, 3DP, 잉크젯, 폴리젯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원리는 저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레이저를 주로 사용하고 재료를 녹여 정밀하게 쌓아올리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CES2014에서는 전문적인 용도보다 누구나 주변에서 손쉽게 이용되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가격도 충분히 낮아졌다. 일부 업체는 499달러(53만원)에 3D 프린터를 출시하기도 했다.
더구나 3D 프린터는 플라스틱, 금속, 고무, 석회 등을 뿌려 물건을 만드는데, 일반 사용자용 모델의 경우 재료가 한정되어 있다. 플라스틱 정도가 대부분이다. 물론 이런 문제는 3D 프린터 보급과 발전 속도를 감안했을 때 5년 이내에 충분히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라스베이거스(미국)=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염동훈표 메가존클라우드, AI 중심 조직개편…“인력조정과 무관”
2025-04-14 16:20:33민주당 홈페이지, 세 차례 디도스 공격 받았다…현재 정상화
2025-04-14 16:15:13[네카오는 지금] 포털, 대선 체제 돌입…"선관위 판단 따른다"
2025-04-14 16:15:00“0% 수렴” 3G 종료 분위기…6월 재할당계획에 ‘주목’
2025-04-14 15:43:54[IT백과] 연평균 31.2% 성장…보안시장 뜨겁게 달군 'XDR'
2025-04-14 15:3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