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은행, IT인프라 구축 잡아라” IT업계 각축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금융 당국이 이르면 6월 중으로 인터넷전문은행 도입방안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IT서비스업체들이 인터넷 전문은행 플랫폼 개발에 나서는 등 시장 개척 준비에 나서고 있다.
IT서비스업체들은 금융권 대형 차세대시스템 사업이 대부분 마무리된 상황에서 인터넷 전문은행이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금융당국이 인터넷 전문은행 시장의 과열을 막기 위해 제한적으로 허가를 진행할 가능성도 제기돼 시스템 구축 시장 자체는 단기간에 급성장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LG CNS, SK C&C 플랫폼 전략 발표= LG CNS는 최근 핀테크 플랫폼을 선보이며 인터넷 은행 출범 시 시스템을 턴키로 제공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LG CNS의 핀테크 플랫폼은 채널과 계정계, 단위 유닛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모바일, 인터넷을 통합하고 한 번의 개발로 다양한 디바이스 및 스크린을 지원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계정계의 경우 영역별 전 범위를 커버하는 코어 비즈니스 솔루션으로 LG CNS는 그동안 금융사업을 바탕으로 은행, 보험, 신용카드, 캐피탈 솔루션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특히 모델지향개발(MDD) 방법론을 통해 품질 및 유지보수 편의성을 높였다.
유닛 모듈은 간편결제, FDS 등 이상징후탐지, 개인정보 암호화 등 일반 은행에서 요구되는 보안 및 스마트 금융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LG CNS는 인터넷 전문은행을 위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강점과 관계사 제품 간 시너지를 활용하다는 전략이다. 은행 코어 업무의 경우 수신·여신·대행·대외 업무를, 간편결제 서비스인 ‘엠페이’를 통해 거래 인증 및 보안을 담당하고 개인정보암호화, FDS, 채널 지원 등을 핀테크 플랫폼에서 확장 지원한다는 전략이다.
SK C&C도 인터넷 전문은행을 위한 플랫폼 개발에 나섰다.
‘프리미엄서비스팀’을 중심으로 인터넷전문은행을 위한 특화 IT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착수했다. 인터넷전문은행 전용의 IT서비스 지원 체계를 마련한 것. 프리미엄서비스팀은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초기 비용은 낮추고 서비스 실행 속도는 높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진행해 온 ‘핀테크(FIN-TECH) 뱅킹 플랫폼’ 개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은 SK C&C의 ‘핀테크 뱅킹 플랫폼’에 들어가 금융서비스의 핵심 분야인 코어뱅킹을 선택한 후 자신의 금융 서비스에 필요한 여신이나 수신, 상품 등의 기능과 솔루션을 고르면 은행에 필요한 금융 시스템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SK C&C 프리미엄서비스팀 관계자는 “SI와 클라우드 환경을 지원하는 플랫폼 개발을 진행 중”이라며 “초기 버전은 SI를 위한 플랫폼 형태가 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아직까지 은행 뱅킹시스템에 클라우드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넘어야할 규제와 제도가 남아있는 만큼 초기 인터넷 전문은행들은 시스템 개발형태의 IT 인프라 구축에 나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인터넷 전문은행 시스템의 API를 공개하는 것은 물론 핀테크 업체들의 API도 수용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초기 자본, 관련 제도 개선 문제 남아=한편 LG CNS와 SK C&C 뿐만 아니라 금융전문 기업 웹케시 등 다양한 IT업체들이 인터넷 은행 출범에 맞춰 관련 사업을 고민 중에 있다.
이들 업체들은 공통적으로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절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대면채널을 통해 모든 업무가 처리되는 인터넷 전문은행의 특성상 본인인증 방법 등 다양한 검증수단이 새로운 기술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
전문가들은 인터넷전문은행이 기존 인터넷 뱅킹의 업무를 그대로 제공하면서도 차별화된 서비스로 경쟁력을 찾아야 한다는 점에서 초기 시스템 투자비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보안 부분에서도 여러 단계의 인증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어 추가적인 비용지출이 불가피하다.
금융당국은 인터넷전문은행 출범 시 최소자본금을 250억원(지방은행)~1000억원(시중은행)사이에서 정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IT 시스템에 대한 초기투자비용을 생각하면 사실상 자본금이 모두 시스템에 투자돼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초기 인터넷전문은행이 검토될 때 기업금융을 제외하고도 시스템 구축에 300억원 전후가 들 것으로 예측됐다”며 “특화 서비스가 무엇이 될지에 따라 시스템 구축 비용이 증감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초기투자비를 낮추기 위한 해법을 IT서비스업체들이 제시하는데 고심하고 있다. 초기에 SI사업을 통한 코어뱅킹 등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고 향후 클라우드가 허용되면 이를 통해 초기 투자비를 낮추고 가입고객 수 확대 추이에 따라 하드웨어를 늘려나가게 하겠다는 것.
일각에서는 저축은행중앙회나 코스콤처럼 애플리케이션 임대방식(ASP)으로 초기 투자비를 줄여주는 방안도 모색되고 있다. 하지만 이 마저도 은행 인터넷 뱅킹시스템에 대한 ASP 허용 문제가 걸려 있어 6월에 나오는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방안과 후속대책의 내용에 따라 접근 방식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주파수 재할당대가, 정부가 부르는게 값? “산정방식 검토 필요”
2024-11-22 18:23:52네이버페이, 한국재무관리학회 ‘상생금융 우수기업상’ 수상
2024-11-22 16:44:59케이‧토스‧카카오뱅크, 3분기 중저신용대출 비중 30% 상회
2024-11-22 16:4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