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방송

공짜 콘텐츠는 없다…지상파, VOD 가격인상 논란

채수웅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지상파 방송사들의 콘텐츠 가격인상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인기 프로그램 VOD 가격인상, 모바일TV 가격인상에 이어 이번에는 VOD 과금체계 변경에 나섰다.

문화방송은 최근 그동안 무료로 제공되던 VOD서비스(이하 SVOD)에도 가입자당 대가를 지불하는 방식인 CPS(Cot Per Subscriber)로 전환하겠다는 공문을 IPTV 및 케이블TV 방송사에 발송했다.

그동안 지상파와 케이블TV에 VOD서비스를 제공하는 '케이블TV VOD(옛 홈초이스)'는 정액(연간 260억원 수준)에 계약해왔다. 하지만 MBC는 다음 달부터 과금방식을 CPS 체계로 전환하고 계약대상도 '케이블TV VOD'가 아닌 각 케이블TV방송사(MSO)들고 바꾸겠다는 것이다.

케이블TV VOD'가 연간 계약료를 지불하고 케이블TV 시청자는 3주가 지난 VOD는 무료로 시청할 수 있었다. 하지만 MBC는 SVOD를 홀드백 기간에 따라 가격(CPS)을 매겼다. 홀드백 1주일 콘텐츠(프리미엄)는 560원, 2주(고급) 지나면 280원, 3주(중급) 140원, 4주(보급) 지난 상품은 76원의 가격을 산정했다.

이럴 경우 케이블TV나 IPTV 사업자는 각사 전략에 따라 1~4주 사이의 상품을 선택하고, 거기에 매겨진 CPS와 가입자수를 곱한 가격을 지상파에 지불하는 것이다. 현재 무료 홀드백 기간이 3주인데, 3주를 기준으로 할 경우 연간 가입자당 CPS는 지상파 3사 기준으로 5040원이다.

3월 기준으로 VOD를 시청할 수 있는 디지털케이블방송 가입자는 725만명이다. 3주 기준 CPS를 적용하면 연간 365억4000만원을 지상파 3사에 지불해야 하는 것이다. 만약 특정 유료방송사가 2주 상품을 선택할 경우 경쟁이 치열해져 비용부담이 엄청 커질 수도 있다. 사업자가 다 부담하지 못할 경우 부담의 주체는 이미 VOD 시청에 길들여진 소비자가 될 수도 있다.

물론, 4주를 선택한 사업자가 많을 경우 총액은 줄어들 수도 있겠지만 현재 시청습관에서 벗어나기는 쉽지 않다. 어찌됐든 지난해 계약을 기준으로 할 경우 케이블TV 업계는 지상파 방송에 약 100억원 가량을 더 지불해야 하는 셈이다.

지상파는 현재 기준인 3주를 적용해도 더 많은 대가를 이끌어 낼 수 있는데다 유료방송 가입자 증가 추세를 감안할 때 기대수익도 더 커진다는 점에서 계약변경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케이블TV의 경우 가입자가 IPTV처럼 크게 늘어나지는 않고 있지만 700만이 넘는 아날로그 방송 가입자가 있다. 이들은 잠재적 VOD 고객들이다. 즉, 케이블TV 사업자들이 지상파방송에 지불해야 하는 VOD 대가는 늘어날 수 밖에 없다는 예기다. IPTV 역시 가입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이에 비례해 VOD 대가도 늘어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VOD를 시청하지 않는 시청자들도 존재한다. CPS 방식은 시청자가 VOD를 시청여부와 상관없이 과금한다. 만약 유료방송사들이 부담을 시청자에게 돌릴 경우 엉뚱한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MBC는 "케이블은 SVOD 서비스를 기반으로 급성장한 반면, 우리 콘텐츠 가치는 급격히 하락했다"며 "지속적인 프로그램 제작비 상승으로 더 이상은 저가의 SVOD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고 밝혔다.

케이블TV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협상을 해봐야겠지만 이 기준대로라면 타격이 클 수 밖에 없다"며 "이렇게 한다면 고객에게 과연 무료로 VOD를 제공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채수웅
woong@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