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

공공기관 지방이전, 수익성 관리 비상등 켜진 IT서비스업계

이상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대기업의 공공SW사업 참여 제한으로 공공시장 개척에 나선 중견 IT서비스업체들이 수익성 관리 문제에 봉착했다.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사업이 마무리단계에 들어서면서 체재비 등 사업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중견IT서비스업체들은 내년도 공공사업을 위한 사업계획 수립에 수익성 관리를 중요한 요소로 검토하고 있다. 다만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이라는 물리적 제약으로 커지는 비용 문제에 뾰족한 해결책이 없어 고심 중이다.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에 따라 내년까지 정부기관의 지방 혁신도시 이전이 마무리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총 110개 기관이 이전을 완료한 상태다. 이미 우정사업본부 등 지방이전이 마무리된 공공기관의 경우 정상적인 IT사업 발주와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IT사업을 수주한 IT서비스업체들은 늘어나는 체재비용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한 IT서비스업체 관계자는 “1인당 1달 체재비용을 50만 원 정도 책정했는데 결과적으로 150만원이 소요됐다”며 “교통비, 식비 등 기본적으로 예상이 가능한 비용이지만 지방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점이 감안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예상치 못한 비용소모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체재비용이 사업비 산정에 포함된 경우는 그나마 다행이다. 최근 들어 공공발주 기관이 체재비용 산정을 축소 적용하고 있어 IT서비스업체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목적이 지방경제 활성화인 만큼 현지 인력을 활용하면 체재비 문제가 없지 않겠냐는 게 발주처들의 시각”이라며 “하지만 지방의 경우 아직 개발 인프라가 서울, 경기지역 만큼 따라주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체재비용 보다 더 큰 문제는 지방으로 내려가 근무하려는 개발자를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2015년 12월 31일부터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 개정안이 시행된다. 개정안에 따르면 공공SW사업에서 전체 사업비의 50% 이상 하도급이 제한된다. 갑-을-병으로 이어지는 재하도급도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는 원도급자가 직접 인력을 운영하는 비중이 높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원도급자인 IT서비스업체가 보유한 인력을 사업에 투입해야 하는 비중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대부분 서울, 경기지역에 집중돼있는 IT서비스업체들 입장에선 서울 및 경기를 터전으로 삼고 있는 직원들을 내려 보내야 한다는 부담이 생긴다.

이를 타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원격지 개발이 거론되고 있지만 공공기관의 저항이 만만치 않은 것이 문제다. IT서비스업체의 한 관계자는 “눈앞에서 일을 해야 진행정도를 알 수 있다는 공공기관 사업담당자들이 많다. 원격지 개발이 공공사업에 허용돼 있지만 유명무실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지난해부터 대기업의 사업참여가 전면 제한된 공공IT사업에 뛰어든 중견 IT서비스업체들은 올해 말을 기점으로 수익성을 우선으로 하는 사업계획 수립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새로운 시장을 보고 의욕적으로 뛰어들었지만 투자대비 효과(ROI)와 수익성 분석을 통해 사업의 옥석을 가리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IT서비스업체들의 내년도 사업 수주 전략도 다소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철저하게 수익성을 따져가며 사업에 참여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IT서비스업체들의 전략 변화가 공공IT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지도 관심이다. 중소IT업체들이 중견 IT서비스업체들이 외면한 시장에 새로 진입할 지와 이로 인한 시장 변화가 주된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이상일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