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KT, LTE 재난통신망 시대 연다

채수웅


국가재난통신망 사업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 그동안 기술방식, 예산, 특정 사업자 독점 문제 등으로 검토만 반복됐지만 최근 시범사업자를 선정, 10여년만에 첫 삽을 떴다.

시범사업은 강원도 평창과 강릉·정선에서 진행된다. 1사업인 평창은 KT 컨소시엄이, 2사업은 SK텔레콤 컨소시엄이 맡았다. 시범사업 중 관심을 모으는 지역은 1사업이 진행되는 평창이다. 예산이 2사업에 비해 훨씬 큰데다 2018년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지역이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KT는 지난달 20일 조달청과 계약을 체결하고 평창지역을 중심으로 PS-LTE(Public Safety LTE, 공공안전 LTE) 기반 재난관련 단일 통신망 구축과 운용 등을 포함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KT는 실제 재난상황을 담은 20개 시나리오별 종합테스트를 거쳐 시범사업을 이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KT는 광케이블, 마이크로웨이브, 위성을 연계한 이른바 ‘Triple GiGA Network’로 네트워크의 생존성을 극대화 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세부적으로 KT는 재난망 상세 시스템 설계를 시작으로 상호운용성과 보안성 검증 시스템 개발, 운용센터 구축, 기지국과 단말기 납품 설치, 종합 테스트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기간은 테스트를 포함해 7개월 안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일단 KT는 PS-LTE 기반 통신망을 구축하고 신기술 등 기능검증 단계를 거칠 예정이다. 이어 테트라(TETRA) 등 타 무선통신망과 연계검증을 거친 후 확대 운영기반 체계마련이라는 전체 일정을 세웠다.

KT는 주제어시스템의 경우 현재 상용망에서 운영중인 코어(Core) 장비를 이용할 계획이다. 또한 그룹통신기술 GCSE(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 핵심기능인 MME, CSCF, PCRF, SAEGW 등도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네트워크 장비부터 서버, 기지국, 전송망, 코어 등 유무선 전체범위의 통합 관제가 가능한 통합관제시스템도 KT가 내세우는 강점이다. 현재 KT 기반망 전국 관제규모는 유선 총 65만개, 무선 77만개에 달한다. 여기에 6만1000km의 광선로도 관리하고 있다.

KT는 강원도 지역의 재난업무 특성을 반영해 재난 관점에서 주요지역을 분석해 핵심지역으로 선정했다.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른 위험지역 분석, 올림픽 개최시 업무증가 고려, 재난재해시 주 이동경로 등 업무의 특수성을 감안해 사업을 진행한다.

KT는 안전처의 전체 일정을 준수하되 많은 부분을 미리 준비한 만큼, 프리테스트 기간을 확보해 사업의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일산에 PS-LTE 테스트베드를 구축했으며 제조사의 수원 테스트베드, 시범사업용 별도 테스트 환경도 구성했다. 이미 700MHz 기지국 사전테스트는 완료했고 향후 상호운용테스트도 진행한다.

KT는 PS-LTE 재난대응체계가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되는지 입체적인 종합테스트를 진행했다. 시나리오 설계 단계에서는 각종 재난대응 메뉴얼을 분석하고 전국 52개 재난대응기관의 인터뷰를 반영하고 실제 재난업무와 동일한 대응 시나리오를 적용했다.

이어 복합재난 상황을 고려해 계획을 수립했다. 최근 8년간 재난통계 및 강원지역의 계절별 재난유형을 고려했다. 산불 등 20여개 재난상황을 설정하고 1, 2사업자, 기관간 협업체계도 고려했다. 마지막 실행단계에서는 실제상황과 동일한 상황을 가정해 시범사업 3개 시군 10개 기관이 참여해 투입장비 30대, 통신장비 126대를 투입해 통제단을 구성해 논의를 진행했다.

KT 네트워크부문 오성목 부사장은 “KT는 재난재해 상황에도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솔루션들을 개발해왔다”며 “국민기업으로서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의 첫발인 본 시범사업을 완벽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재난통신망 사업은 2003년 2월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이후 추진됐다. 경찰 등에서 사용하는 테트라(TETRA)가 유력한 후보로 거론됐지만 예산문제에 특정 사업자 독점 등이 감사원 지적을 받으며 2009년 사업이 중단됐다. 이후 테트라, 아이덴, 와이브로, LTE 등이 경합을 했지만 별다른 진전은 없다가 작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다시 추진되고 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채수웅
woong@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