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KT ‘드론 LTE’ 세계 첫 선…재난 골든타임 확보한다

채수웅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윙 소리를 내며 ‘드론 LTE’들이 비상하기 시작한다. 통신이 두절된 지역에 출동해 통신을 복구시키면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이 출동해 재난현장 영상을 실시간으로 본부에 전송한다.

재난통신망 1시범사업자에 선정된 KT가 재난 발생시 신속하게 네트워크를 복구할 수 있는 솔루션을 공개했다. 가방 크기 만한 백팩형 LTE 기지국을 비롯해, 초소형 기지국을 탑재한 드론 LTE 기지국도 선보였다.

KT는 24일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백팩 LTE'와 '드론 LTE' 등 재난통신망에 특화된 통신서비스를 시연했다.

KT는 기존 지상 기지국 방식으로 추진되는 재난망과는 별개로 차별화된 솔루션을 개발해왔다. ‘드론 LTE’, ‘백팩 LTE’, ‘위성 LTE’ 등이 주인공이다.

‘백팩 LTE’는 기존 15kg인 기지국(RU)을 9kg으로 소형화했다. 사람이 실제 백에 기지국을 메고 통신이 두절된 지역에 가면 통신이 복구되는 개념이다. '드론 LTE' 역시 핵심기술은 RU의 소형화이다. 초소형 기지국으로 드론에 탑재된 RU 무게는 800g에 불과하다. 고도 150m까지 올라가서 통신을 복구한다.

실제 현장에서 KT는 1.8GHz 대역의 통신을 단절시킨 후 드론을 출동시켜 통신을 복구하는 시연에 성공했다. 기지국을 탑재한 드론이 출동해 통신을 복구하면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이 현장에 출동해 조난자 등의 위치를 파악해 본부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해 재난상황을 해결했다.

총 5대의 드론의 편대비행을 통해 여의도만한 커버리지를 구축할 수 있다. 다만, 드론 기지국의 단점은 짧은 배터리 성능이다. 최대 20분 정도가 기동이 가능하다. 때문에 드론 기지국이 교대로 비행에 나서야 한다. KT는 오는 2018년에는 최대 비행시간 40분, 운영반경도 기조 3.4km에서 20km로 늘린 고성능 드론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직접적인 시연은 하지 못했지만 ‘위성 LTE’ 역시 KT가 자랑하는 통신서비스다. ‘위성 LTE’는 해상재난에 특화됐다. 육지에서의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해상지역에는 선박형 기지국을 설치하고 위성신호를 받아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무궁화 위성을 활용해 반경 10km 지역에서 서비스가 가능하다. '위성 LTE'를 활용하면 해외에서도 서비스가 가능하다. 현재 무궁화 5호 위성의 커버리지는 필리핀 등 동남아를 비롯해 일본, 중국 동부까지 가능하다. 2017년 1분기 무궁화 7호 위성이 발사되면 몽고, 중동도 커버리지 형성이 가능하다.

오성목 네트워크부문 부사장은 "인구대비로는 99% 커버리지를 자랑하지만 면적 기준으로는 72%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라며 "망 구축이 미흡한 재난지역에서의 문제 해결을 위해 위성, 드론, 백팩형 기지국을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평창=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채수웅
woong@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