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방송

한국 정부엔 너무 팬시한 4차 산업혁명…“차분히 대비해야”

채수웅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다른 국가들은 뚜렷한 이유가 있어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를 내세우는데 우리는 특별한 목적 없이 팬시하니까 쓰는 것 아닌지 싶다. 우리에게 어떤 영향이 올지를 생각하고 차분하게 대비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철학인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다른 나라의 경우 뚜렷한 목적이 있는데 우리의 경우 그냥 목적없이 구호처럼 이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경숙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사진>은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열린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조업 일자리 동향 토론회에서 이 같은 견해를 피력했다. 해외 주요 국가에서 진행되는 4차 산업혁명과 우리가 말하는 4차 산업혁명은 꽤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발제에 앞서 “독일이나 미국, 일본 등도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를 내세우지만 이들은 자국의 기계(독일), 로봇(일본), 플랫폼(미국) 등을 더 팔기 위해 4차 산업혁명을 부르짖고 있다”며 “일종의 마케팅, 시장창출을 위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최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시장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꺼려한다”며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도가 중소기업부터는 굉장히 낮은 수준으로 해외의 4차 산업혁명 분위기와 우리 기업들이 체감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이 연구위원은 무분별하게 4차 산업혁명을 외칠 것이 아니라 왜 4차 산업혁명을 해야하는지, 어떤 영향이 나올지를 먼저 진단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위원은 “이미 국내 대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과 같은 준비를 해오고 있다”며 “기업들이 환경에 맞게 도입하는 것이지 어느 날 (혁명처럼)갑자기 변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4차 산업혁명은 현재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를 대체하는 구호처럼 사용되고 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발생하기 전 까지 창조경제가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의 핵심이었지만 어느새 그 자리를 4차 산업혁명이 꿰찼다. 문재인 대통령 뿐 아니라 19대 대선 주자들 모두 4차 산업혁명을 전면에 내세웠다. 창조경제를 담당하던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이름을 바꾸고 이제는 4차 산업혁명 주무부처 역할을 맡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특별히 정부에서 오신 분들에게 말하고 싶다”며 “우리가 4차 산업혁명을 부르짖을 이유가 뭔지 생각하고 주요 국가들 외침에 휘둘릴 것이 아니라 차분하게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채수웅
woong@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