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제도/정책

"고객님, 당황하셨어요?" 받아보니 보이스피싱…KISA, 발신번호 변작 대응

홍하나

[디지털데일리 홍하나기자] 발신번호를 바꿔 교묘하게 사람들을 속이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사례가 늘고 있다. 지난해만 2만건을 훌쩍 넘겼으며, 올해도 2만건을 육박할 전망이다. 각종 범죄행위에 사용되는 발신번호 변작을 막기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경찰청, 금융감독원, 주요 금융권 등과 대응에 나선다.

김종표 KISA 스팸정책 팀장은 “과거에는 어눌한 말투를 쓰는 발신자가 보이스피싱의 대표적 사례였다”며 “하지만 최근에는 은행직원을 사칭해 송금을 유도하는 등 발신번호 변작을 활용한 사기가 점점 지능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발신번호 변작은 전화나 문자를 보낼 때 다른 사람의 전화번호나 없는 번호로 발신번호를 거짓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보이스피싱이나 스미싱과 같은 전자금융사기, 불법 광고성 정보 전송 등 불법적인 목적에 가장 많이 쓰인다.

발신번호 변작으로 인한 피해사례는 증가하고 있다. KISA 118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발신번호변작 사례는 지난 2017년 1만 여 건에서 2018년 2만6000건으로 증가했다. 올해는 7월까지 1만3000건으로 전년대비 소폭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연말까지 2만 건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

발신번호 변작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음성전화의 경우, 보이스피싱 조직원이 별정통신사 여러 곳에서 회선을 개통하고, 기간통신사에도 '1588' 등의 대표번호로 개통한다. 이후 보이스피싱 조직원은 여러 별정 통신사에 개통된 회선의 대표번호를 '발신번호 변경' 신청한다. 이때 통신사는 대표번호와 착신번호를 확인하지 않고 발신번호 변경 표시를 해준다는 것이 KISA 측의 설명이다.

이밖에도 위조된 통신서비스 이용증명원을 이용한 발신번호 변경, 교환기 무단 접속을 이용한 변작, 개인용 전화번호로 변경처리 등의 음성전화 발신번호 변작 사례는 수 없이 많다. 인터넷 발송문자 발신번호 변작 사례도 타인번호 도용, 위조된 ‘통신서비스이용증명원’ 이용 등 다양하다.

KISA는 발신번호 변작 방지를 위해 경찰·공공·금융기관 등과 협력한다. 하반기 금융회사와 연계해 보이스피싱 방지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기관별로도 별도로 담당하던 업무의 효율성을 높위기 위해 소통 채널도 만든다.

또 KISA 보호나라 홈페이지를 통해 발신번호 변호 변작 신고접수도 받고 있다. 접수를 토대로 전화, 문자의 전달경로를 추적해 발신지를 확인하고 조치를 취하고 있다. 신고를 받거나, 이전 지적 사업자, 신규 등록 사업자의 전기통신사업자 현장검사도 실시하고 있다.

김 팀장은 “KISA가 그동안 수집한 데이터베이스(DB)를 바탕으로 타 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발신번호 변작 의심신고 센터에 신고를 하면, 최초 발신사업자를 찾아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문자는 2~3일, 전화는 최소 3일에서 일주일 정도 걸린다”며 발신번호 변작 사례 발견 시 신고를 당부했다.

<홍하나 기자>hhn0626@ddaily.co.kr


홍하나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