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IT

네이버·카카오 ‘빅테크’ 금융 파상공세… 5大은행 대응 전략은?

박기록
* 본 기사는 <디지털데일리>가 6월말 발간 예정인 <디지털금융 혁신과 도전, 2020년 특별호>에 게재된 내용중 일부를 편집, 요약한 것으로, 책의 내용과 일부 다를 수 있습니다. <편집자>
<2020 금융 디지털 IT전략 -> 5大 은행, 2020년 디지털 & IT 전략 분석 - 총론-

빅테크 기업에 대응할 차별화된 ‘디지털 혁신’ 전략에 집중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지향, 중장기 로드맵…“3~4년후 완성”
‘디지털 리스크’ 감안한 보안투자 전략 부쩍 강화

[디지털데일리 박기록, 이상일기자] 국민, 농협, 우리, 신한, 하나은행 등 국내 5대 주요 은행들이 네이버, 카카오와 같은 빅테크(Big Tech)기업들의 시장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일까.

올해 5대 은행의 디지털·IT전략을 분석한 결과, 대응 전략의 핵심 키워드는 ‘초(超)격차’로 요약된다. 상대적 우위에 있는 경쟁력 요소를 ‘절대 우위’를 더 강화할 수 있도록 대응책을 찾겠다는 것이다. 즉, 잘할 수 있는 것을 디지털 및 IT 혁신 전략의 틀속에서 더 정교하게 다듬어 시장 대응에 나서겠다는 전략이다.

본지가 <디지털금융 혁신과 도전, 2020년 특별호> 제작에 앞서, 국내 5대 주요 은행들에게 2020년 디지털과 ICT부문에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주요 사업과 향후 방향성에 대해 질의했다. 아울러 클라우드 전환 계획 및 일정, ‘디지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 투자 계획도 알아봤다.

은행들마다 올해 디지털 및 ICT부문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전략적 공통분모를 찾는 것은 여의치 않았지만 핵심은 '초격차 전략'으로 압축된다. 초격차 전략을 통해 서비스산업으로 변화되고 있는 금융 플랫폼 시장의 주도권을 지키겠다는 것이다. 초격차 전략은 '초(超)개인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를테면 신한은행은 현장 중심의 ODS(Out door sales, 찾아가는서비스)를 통해 빅테크기업들이 모방할 수 없는 디지털금융 서비스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우리은행은 AI기반의 업무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AI Powered Bank’ 전략을 크게 강화할 계획이다. 실제로 올해 우리은행의 IT투자도 이 부분에 집중되고 있다. 하나은행은 올해부터 '차세대 글로벌 표준시스템'을 해외 주요 거점 법인을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적용, 차별화된 글로벌뱅킹서비스에 나선다.

빅테크 기업들이 결코 쉽게 모방할 수 없는 재무관리, 기업 리스크관리, 자금운영, 글로벌 전략 등 기업금융 노하우 등도 기존 은행들이 새롭게 혁신의 요소로 찾겠다는 게 차별화의 핵심 요소다. 이는 올해 은행권 전체의 AI기반의 ‘업무시스템 고도화’와도 그대로 맥이 닿아있다.

각각 업무 고도화의 영역의 다르지만 결국 ‘고도화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한다’는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단순히 빅테크기업들과 고객 채널 접점에서 이뤄지는 금융서비스 편의성 경쟁이 아니라 보다 금융의 본질적인 측면에서 승부를 걸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ICT부문에선 ‘정보계’ 인프라의 확충에 무게가 크게 실리고 있다. 향후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에 철저하게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국민은행은 올 10월 완료되는 ‘더 K 프로젝트’를 통해 정보계 인프라 혁신을 끝낼 예정이고, 농협은행은 컨설팅을 거쳐 하반기 정보계 차세대시스템 계획과 함께 ‘마이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물론 실제로 빅테크 기업들과 비교해 디지털혁신 금융서비스에서 초격차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두
고 봐야한다.

다만 최근 빅테크 기업들의 거센 금융시장 공세에 대해 5대 은행들은 아직까지 크게 긴장하는 분위기가 느껴지지는 않는다. 빅테크기업에서 제공하는 혁신금융서비스는 은행들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격차는 시장과 고객을 움직일 정도는 아니라는 자신감이 느껴진다. 또한 금융 현장에서 수십년간 쌓아은 스스로의 내공에 대한 믿음도 엿보인다.

◆ 클라우드 전환, 5대 은행 '하이브리드-멀티' 전략 공통점

IT업계가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은행권의 클라우드 전환 일정과 관련해, 5대 은행들이 밝힌 전략은 대동소이하다.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을 지향하고, 중장기적으로 ‘그룹 공동 클라우드’ 전략에 목표를 두고 있다. 다만 핵심 업무에 대해서는 클라우드 전환을 급하게 서두르지 않는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물론 이는 U2L 등 기술적 문제, 차세대시스템 일정 등을 고려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국민은행은 “특정 클라우드 벤더에 종속되지 않겠다”는 ‘멀티’(Multi) 클라우드 전략을 특히 중시한다고 밝혔다. 특정 벤더에 종속될 경우, 겪을 수 있는 갈등을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이브리드’(Hybrid) 클라우드 전략은 핵심업무는 온프레미스로 놓고 비핵심업무를 퍼블릭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는 5대 은행 모두 공통된 입장을 보였다.

◆금융보안 리스크 고조, '보안 지능화'로 선제적 대응 전략 강화

5대 은행들은 ‘디지털 리스크’에 대한 경각심과 함께 올해 보안투자의 핵심 키워드로 인공지능(AI)에 기반한 보안 인프라 체계의 지능화(Intelligence)를 꼽았다. ‘마이데이터’시대 개막, 클라우드 도입 가속화가 진행됨에 따라 AI 기반의 선제적이고, 예방적인 통합보안 체계로 대폭 업그레이드하겠다는 전략이다. 올해 금융권 보안 투자의 핵심 키워드는 '선제적' 대응 전략의 확보다.

국내 주요 은행들의 보안 전략은 결국 향후 2~3년간 진행될 금융권 보안 투자의 지향점이 어디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주목할 만한 것은 금융 보안의 대한 관념도 이전과 비교해 훨씬 더 광범위해졌다는 점이다.

보안 문제를 은행의 운영리스크관리 인자로 놓고 관리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따라서 해킹 등 전통적인 보안이슈 외에 코로나19로 인한 BCP(업무연속성계획) 차원에서 보고 있다. 특히 컴플라이언스 이슈인 AML(자금세탁방지)시스템도 이제는 광의의 보안 이슈에 포함되고 있다.

국민은행은 올해 레그테크(RegTech)기반의 ‘예방적 정보보호체계 구축’을 핵심 보안과제로 꼽았다. 우리은행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예측형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해 사이버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에 나서겠다는 전략이다.

농협은행은 더 진화된 전략을 검토하고 있다. 오픈API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까지도 앞으로는 철저하게 관리해 보안위협을 줄이겠다는 차원에서 ‘SOAR’(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and Response)’체계를 도입해 기존보다 훨씬 강력한 '보안체계 자동화'를 달성한다는 전략이다.

하나은행은 차세대 글로벌뱅킹시스템(글로벌 표준시스템)이 올해 3월부터 본격적으로 해외 법인에 적용됨에 따라 글로벌 보안 강화를 전제한 ‘표준화, 현지화, 통합화’ 추진 전략에 주력한다. 하나은행은 24개 국가의 현지 금융보안 규제를 분석한 글로벌 정보보호 표준 거버넌스를 마련했으며, 올해 4월 베트남에서 1차 적용을 완료했다. 또한 국제적인 정보보안 인증(ISO27001) 취득도 함께 추진중이다.

<박기록 기자>rock@ddaily.co.kr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박기록
rock@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