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미술품 투자‧인증 카드…국내서도 NFT 서비스 부상하나

박현영

클립에 보관하는 디지털카드 NFT./출처=테사 캡처
클립에 보관하는 디지털카드 NFT./출처=테사 캡처

[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해외 시장이 중심이던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가 점차 국내 시장에서도 부상하는 추세다. 국내 기업들도 관련 서비스를 출시하며 NFT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NFT란 토큰 1개 당 가격이 같은 일반적인 가상자산과 달리, 토큰 1개 당 가치가 모두 다른 것을 말한다. 주로 게임 아이템 같은 희소성 있는 상품을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화할 때 쓰인다. NFT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 관련 정보는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미술품 분할 소유도 NFT로…보관은 카카오톡 ‘클립’에

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에서도 NFT를 활용하는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는 추세다. 카카오톡 내 가상자산 지갑 클립(Klip)이 대표적인 예다. 클립은 NFT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NFT 서비스들이 나올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지금까지 ▲현대카드의 발급 기념 카드 ▲굿네이버스의 기부 인증 카드 ▲비상장주식 거래 플랫폼 엔젤리그의 투자조합 가입확인서 등을 NFT화해 클립에 보관할 수 있도록 했다. 현대카드, 굿네이버스, 엔젤리그 모두 NFT를 활용하게 된 셈이다.

현재 클립은 친구 초대를 통해 가입한 회원에게 NFT 카드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해당 NFT는 세계적인 그래피티 아티스트 키스 해링(Keith Haring)의 미술품을 분할 소유할 수 있는 교환권을 NFT화한 디지털 카드다. 관련 정보는 그라운드X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에 영구 저장된다.

디지털 카드 NFT를 만든 건 국내 기업 테사(Tessa)다. 테사는 미술품 국내 투자 플랫폼으로, 미술품 분할 소유권과 교환할 수 있는 ‘상품권’ 또는 ‘교환권’을 NFT화한다. NFT 발행 시엔 클레이튼 블록체인을 사용한다.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발행되는 미술품 교환 NFT는 향후 해외 NFT 마켓에서도 판매할 예정이다. 테사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중 상품권 NFT 중 일부가 오픈씨(Opensea) 등 NFT 마켓에서 판매되도록 협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향후에는 소유권 자체를 NFT화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덧붙였다.

◆규제 불확실성‧적은 수요 등 진입장벽…업계 "수요는 늘어날 것"

이처럼 NFT 활용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아직 국내에는 진입장벽이 있다. 해외에 비해 적은 수요, 규제 불확실성 등이다.

해외에선 블록체인 게임 내 NFT가 16억원대에 팔리기도 했지만, 국내에선 NFT 활용 게임이 제도권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게임물관리위원회는 NFT를 활용한 블록체인 기반 게임 ‘파이브스타즈 for Klaytn’의 등급 분류를 거부했다. NFT화된 게임 아이템을 외부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할 수 있어 사행성을 조장한다는 판단에서다,

국내 한 블록체인 게임사 관계자는 “게임위의 입장 등 규제 불확실성이 있다보니 해외 시장을 공략하려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미술품 투자 플랫폼은 투자 관련 법인 자본시장법이 아니라 민법을 활용하기로 했다. 테사의 미술품 분할 소유권 투자는 자본시장법 상 투자 상품이 아닌, 미술품을 공동 소유하는 민법 상 구매 행위를 기반으로 한다. 테사가 사전에 매입한 작품을 함께 소유하게끔 플랫폼 이용자들과 공동 소유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이다.

테사 관계자는 “실물자산인 그림을 관리하는 방법, 분할 소유권을 타인에게 양도하는 방법 등을 상세하게 계약화해 민법의 테두리 안에서 분할 소유권 투자자들을 보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시장의 NFT 수요에 대해선 “현 지점에서 NFT의 국내 수요를 예측하기는 힘들다”면서도 “블록체인에 기록된 데이터는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점과 유일성이 보장되는 NFT의 속성을 활용하면 관련 서비스는 확장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에서도 유명 NFT를 수집하는 사람이 생길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는 “국내 NFT 시장이 해외만큼 크진 않지만 커뮤니티의 분위기를 살펴보면 NFT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는 중”이라며 “해외의 크립토 펑크처럼 국내에서도 유명 NFT를 수집하는 사람들이 점차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박현영기자> hyun@ddaily.co.kr

박현영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