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라이트닷넷 2021 /솔루션②] 의료 혁신시스템이 1차 병원까지 퍼지는 상상
[IT전문 미디어 블로그=딜라이트닷넷] “국민들이 피부로 느낄 변화를 꾀하겠습니다”
국가 차원서 만든 의료 인공지능(AI) ‘닥터앤서 2.0’ 전략에 대한 정부 관계자의 전언입니다. 이뿐만 아니죠. 대국민 건강 챙기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내 곁의 의사 선생님 만들기를 지원하겠다고 말하는데요. 무슨 소리일까요.
정부는 팬데믹 이후 의료 소외 지역을 없애겠다며 클라우드 확장 기반 1~3차 병원 데이터 공유 꾀하는 미래를 그리고 있습니다. 즉, 이같은 상황을 고려해 의료 격차를 해소하는데 정보통신(ICT) 기술을 사용하겠다는 겁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건강보험 전체 진료비 중 노인 진료비는 지난 2010년 32.3%에서 2019년 41.6%로 10년간 9.3% 늘었습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 진료 비율은 11%에서 15.7%로 4.7% 늘었는데, 이는 노인 진료인원 증가보다 진료비 증가율이 높은 수준입니다. 향후 노인인구 증가와 맞물려 더 심화될 전망이죠. 소외 지역의 의료 격차를 ICT 기술로 해소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해외 사례는 어떨까요.
코로나19 이전 미국노인의료보험제도(메디케어, Medicare) 지원을 받는 1차 진료 건수 중 원격의료(Telehealth)는 0.1%에 불과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인 지난 2020년 4월엔 45.3%로 늘었죠.
우리 정부는 부담을 덜기 위해 일선 병원들의 스마트 전환 등을 국가 차원서 돕고 있습니다.
이른바 ‘데이터 3법’ 개정을 통한 국가 차원의 환자 정밀의료시스템 마련 정책 지원이나 의료 혁신 등은 핵심 축이죠. 스마트 병원으로의 전환에는 국가와 기술의 협력이 필요하거든요.
덕분에 국민 건강수명과 직결된 8대 질환의 진단・치료용 인공지능(AI) 의료 소프트웨어(SW) ‘닥터앤서(Dr.Answer, 의료 빅데이터를 통해 의사의 진료·진단을 지원해주는 인공지능)’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뤄졌습니다.
새로운 12대 질환에 대해 ‘닥터앤서 2.0’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우리나라가 인공지능 의료서비스에서 가장 앞서갈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졌죠.
단순 업무 자동화에 따른 효율성 강조뿐 아니라 환자 동의를 얻은 의료의 본질적 혁신을 가능케 함으로써 환자에게 도움되는 것이 목표인데요.
기존에는 진료기록의 단순 확인에 그치던 것이, 스마트 병원화된 후엔 건강 상태 모니터링에 따른 관리를 용이하게 만들죠. AI 의사를 통한 진단부터 사후 처리까지 기존 대면 의료 서비스와는 많은 것이 달라지는 겁니다.
[강민혜 기자 블로그=모두 多 IT 기업]
[2024 IT혁신상품] AI 협업부터 비정형데이터 보호까지…지란지교그룹 '각개약진'
2024-12-19 18:33:01비트코인, 1억5000만원대 유지…RWA NOVA 코인, 비트마트에 신규 상장
2024-12-19 18:06:07'계엄군 점거' 서버 살펴본 선관위 보안자문위…"침입 흔적 없다"
2024-12-19 17:56:25[현장] 티빙·웨이브 합병 두고 CEO별 온도차…"주주 동의 필요 vs 無 관여"
2024-12-19 17:13:57[DD퇴근길] 갈길 먼 AI 기본법…바디프랜드, '가구' 선보인 이유는
2024-12-19 16:5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