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전문 미디어 블로그=딜라이트닷넷] 오프라인 중심이던 유통업계 무대가 온라인으로 바뀌면서 신세계·롯데 등 유통 공룡들 갈 길이 바쁩니다. 이들은 온라인 시대에 맞춰 적극적으로 조직을 개편하는 한편 몸집을 키우기 위해 인수합병(M&A)도 꾸준히 검토 중입니다.
사실 오프라인 시장도 여전히 치열한 건 마찬가지입니다. 신세계·롯데·현대백화점 3사 현황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리빙·명품 카테고리 인기로 코로나19 기간에도 꾸준히 신규 출점을 이어왔죠. 3사는 오프라인 유통업계선 피할 수 없는 경쟁상대입니다. 온라인 시대 네이버·쿠팡 등 e커머스 업체들과 경쟁하기 위해 체질개선 하는 것도 이들의 공통 과제일 것입니다.
유통 공룡들이 통합 온라인몰을 적극 키우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현재 신세계그룹은 SSG닷컴, 롯데쇼핑은 ‘롯데온’이라는 통합 온라인몰을 운영 중입니다. 아직 점유율은 미미하지만 백화점·마트·자체상품(PB)들을 한 번에 모으고 제3자가 입점해 판매할 수 있도록 오픈마켓 방식도 도입했습니다.
그런데 현대백화점그룹은 신세계·롯데와 달리 전체 통합몰이 없습니다. 오히려 백화점은 자체 온라인몰 ‘더현대닷컴’, 온라인 식품관 ‘현대식품관 투홈’으로 나뉘고 한섬(패션), 현대리바트(가구) 등 그룹 내 계열사별 전문몰들로 분포돼있죠. 왜 현대백화점은 경쟁사들과 다른 전략을 취한 것일까요? 대표적인 이유는 ‘대형마트’ 유무와 관련 있습니다.
e커머스 시장이 발전하면서 가장 크게 변화한 것은 바로 장보기 서비스입니다. 동네 슈퍼나 마트에서 구매하던 신선식품·밀키트 등을 집에서 쉽게 온라인 주문 할 수 있게 됐는데요. 롯데와 신세계 유통 매출 중 롯데마트와 이마트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e커머스 업체들 성장이 직접적인 위협이 됐을 것입니다. 실제 롯데·신세계 최근 실적은 백화점과 달리 마트 사업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고객을 온라인몰들에 뺏기지 않기 위해선 롯데·신세계도 빨리 그 시장에 뛰어들어야 했겠죠. e커머스 업계선 단기간 고객들을 모으고 거래액을 늘리기 위해선 각 계열사들을 한데 모은 ‘통합몰’을 만들 수밖에 없던 것입니다.
현대백화점은 대형마트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2000년대 중반 까르푸를 인수하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최종적으로 이는 무산됐습니다. 현대백화점은 패션·가구·식품 등을 프리미엄화·전문화 시키는 전략을 이어왔습니다. 경쟁사들에 비해 e커머스 성장으로 인한 피해는 상대적으로 덜 받게 된 거죠. 대형마트가 없으니 이를 뺏길 일도 없고 백화점·패션·가구 제품들은 저렴한 가격을 내세우는 e커머스 업체들과 타깃층이 달랐으니까요.
현대백화점은 각 브랜드가 특색을 갖춰 전문 온라인몰로 성장하는 게 이를 통합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라고 판단한 셈입니다. 그러다보니 신세계·롯데가 자기네 플랫폼으로 여러 브랜드를 유치시키려는 반면 현대백화점은 부문별 전문 브랜드를 다른 곳에 입점시키는 반대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e커머스 시장은 물류 경쟁으로 확대돼 ‘쩐의 전쟁’을 방불케 합니다. 엄청난 투자금을 갖고 있지 않는다면 쉽게 두각을 나타내기 어려운 형국이죠. 그래서 일각에선 특정 카테고리만을 취급하는 전문몰이 그 대안으로 떠올랐습니다. 현대백화점이 대형마트를 갖지 못한 과정은 쓴 경험이었을겁니다. 롯데·신세계와 몸집 차이가 나게 만드는 요인 역시 ‘대형마트 유무’거든요. 과거 아픈 경험이 현재 e커머스 시장에 대응하는 방식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현대백화점이 롯데·신세계와는 다른 방식으로 온라인 시장에 자리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