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스마트폰은 손으로만 만져야 할까
[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장애 유무에 관련 없이 기기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척도를 ‘장애인 접근성’이라고 한다.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동일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각종 기능을 접목하는 건 제조사들이 풀어야 할 숙제다.
국내 전자업계는 최근 장애인 접근성과 관련한 기능을 활발하게 확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삼성닷컴에 수어 상담 서비스를 확대 적용했다. 기존에는 40개국에 수어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올해 말까지 50개국으로 늘릴 계획이다. LG전자는 자회사 하이텔레서비스에 수어상담센터를 열었다. 영상통화를 이용해 수어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지만 아쉬운 점도 존재한다. 시청각 장애인을 위한 기능에 지나치게 집중돼 있다는 부분이 그중 하나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에는 ‘시각장애인 모드’가 있다. 그렇지만 몸통 기능에 영속적인 장애를 가진 지체장애인을 위한 기능은 없다. 손가락으로 스마트폰을 작동할 수 없는 사용자는 갤럭시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다.
오스템임플란트 순익 급감 불구 ‘1천억 배당’ 논란… MBK가 세운 ‘덴티스트리’, 9백억 수령
2025-04-08 23:14:49우리금융 "美 상호관세 관련, 자금지원 총 10.2조원 투입"
2025-04-08 18:01:53키움증권 ‘전산 먹통’ 논란… 결국 다우기술로 불똥튀나
2025-04-08 17:31:34마이리얼트립, 지난해 매출 892억원…첫 연간 흑자 달성
2025-04-08 17:25:56[DD퇴근길] '갤럭시S25' 통했나?…삼성전자, 1Q 어닝서프라이즈
2025-04-08 17:2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