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디지털금융2022④] 마이데이터·NFT·메타버스··· 급변하는 환경 속 금융보안은?

이종현
2022년 우리나라 금융산업은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기존 전통적인 금융회사들의 플랫폼 금융 혁신 전략은 2022년에는 더욱 역동적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데일리>는 12월 06일 ~ 12월 10일까지 5일간 예고돼 있는 [2022년 전망, 금융IT Innovation 버추얼 컨퍼런스]에 앞서 금융권 현황을 조망해본다.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금융환경이 급격히 변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오프라인 점포수 감소가 이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2015년 4314개였던 시중은행 점포수는 2020년 3546개로 줄었다. 향후 오프라인 점포수 감소는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오프라인 점포의 감소는 디지털금융의 활성화를 뜻한다. 지난 10월에는 세 번째 인터넷 전문은행인 토스뱅크가 등장했다. 카카오와 토스라는 ‘메기’를 맞이한 금융권은 살아남기 위한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금융업계의 앞날을 예측하기 어려운 가운데, 금융권 공통의 고민거리가 있다. ‘보안’이다.

기존 시중은행은 전통적인 보안을 고도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EDR),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자동화 및 대응(SOAR, 쏘아) 등 신기술 도입에 속도가 붙는 중이다.

전자서명법 개정, 비대면 업무환경 대두, 금융 마이데이터 시행, 클라우드 도입 등 시장 변화 대응 과정에서 익숙지 않은 신규 영역에 대한 고민도 깊다. 공인인증서에 의존하던 금융사들이 독자적인 인증 생태계 구축에 착수하고 가상데스크톱인프라(VDI)를 구축하는 등 대응에 나서는 중이다.

금융권의 신규 플레이어인 핀테크 기업은 금융에 요구되던 전통적인 규제에 어려움을 토로하는 중이다. 망분리가 대표적이다. 핀테크 업계는 금융 망분리 정책 탓에 혁신 서비스 개발이 어려운 데다 개발자들도 떠난다고 피력 중이다.

업계에서 망분리 철폐의 필요성은 주기적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마땅한 대안이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핀테크 기업이 규제 샌드백스를 신청하는 정도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금융권에서 메타버스나 대체불가능한 토큰(NFT)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그만큼 ‘혁신’에 목말랐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신뢰가 최우선인 금융업 특성상 보안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다.

금융보안원은 지난 11월 2022년 10대 이슈로 ①디지털 팬데믹 ②신규 금융보안 규제 ③오픈소스 이면에 감춰진 리스크 ④제로 트러스트 전략에 따른 차세대 보안환경 확산 ⑤제3자 리스크 대비한 운영복원력 확보 ⑥디지털자산 확산에 대한 기대와 우려 ⑦금융 메타버스 ⑧업무 자동화 확산에 따른 리스트 증가 ⑨데이터 무한 경쟁 시대, 데이터 양극화 현상 ⑩멀티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금융서비스와 보안위협 등을 선정했다.

사이버위협이 금융 안전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 만큼, 금융시스템 전반의 보안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것이 금융보안원의 입장이다.

김영기 금융보안원 원장은 지난 11월 금융정보보호 컨퍼런스서 “불확실성이 높은 시대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균형 잡힌 시각이다. 보안이 금융산업을 지탱하는 사회안전망이자 금융혁신을 위한 촉매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됐다”며 금융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원장의 표현은 보안업계에서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두고 ‘자동차가 더 빨리 달리기 위한 장치’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혁신을 위한 규제라는 역설적인 상황 속에서 금융보안이 어떤 모습으로 진화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이종현
bell@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