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공IT

복지부 'AI·빅데이터 활용 응급 알리미 서비스', 취약계층 보호수단으로 부상

이상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복지부에서 2022년까지 30만호 보급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독거노인 및 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장비 보급사업이 장애인/독거노인을 포함한 취약계층의 보호수단으로 효용성을 인정받으며 주목 받고 있다.

2020년부터 전국에 독거노인 및 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를 구축, 운영하고 있는 한국케이블텔레콤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 3월부터 12월까지 월 평균 641건의 응급상황을 감지, 이중 응급상황으로 119에서 출동해 응급실로 이송한 상황이 월 평균 127건, 조기 화재진압으로 이어진 것이 월 평균 63건으로 집계되어, 독거노인 및 장애인의 응급 상황 발생 시, 매월 190여 명의 인명 구조에 지대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해 9월 전라북도 김제시, 한모씨 자택에서, 선풍기 과열로 선풍기에서 화재가 발생했으나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화재를 신고해 119가 현장으로 즉시 출동, 진압조치를 해 주방이 소실되는 등 피해가 발생했으나 인명피해 없이 마무리되기도 했다. 

또, 강원도 정선군 최모씨는 뇌출혈로 댁내에서 쓰러졌으나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시스템에서 대상자의 활동상태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담당 생활지원사가 방문, 응급 호출로 119현장 출동이 이루어졌고, 긴급 치료 후 생존했다. 
 
더불어,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장비를 통해 수집한 생활패턴 정보, 환경정보, 수면 건강 정보, 사망상황 정보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망사고 원인 분석도 가능해, 경찰서의 사망원인 조사에 기여하고 있다.

복지부는 2020년부터 매년 10만대씩 2022년까지 총 30만 세대에 차세대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장비를 보급해오고 있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장비는 최신 사양의 응급호출기, 화재감지기, 심박·호흡 활동량감지기, 조도·습도·온도감지기, 태블릿PC 기반 통신 단말장치 등으로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이 적용돼 있다.

화재, 낙상, 실신 등 응급상황 발생 시 소방서와 담당 생활보호사에 자동으로 호출 신호를 보낸다. 담당 생활보호사는 설치된 장비를 통해 대상자의 생활패턴 정보를 포함한 활동량, 심박·호흡, 수면시간 정보 등을 토대로 응급상황을 판단,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응급 상황의 경우 장비 이용자가 직접 응급 버튼을 눌러 소방서로 구호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한국케이블텔레콤 관계자는 “2020년부터 구축, 운영을 시작한 독거노인 및 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가 장비 운영과 시스템 운영이 안정화되며, 복지부에서 추가적으로 추진 중인 장애인 복지사업에도 성공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밝히고, “응급안전요원, 생활보호사 등 운영인력에 대한 지원 확대와 함께 관련 시스템 고도화 및 서비스 안정화를 통해 더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독거노인 및 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혼자 사는 만 65세 이상 가운데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에 해당하는 치매 또는 치매고위험군 ▷지방자치단체장이 생활여건, 건강상태 등을 고려해 상시 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람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자 중 상시 안전확인이 필요한 사람과 장애인활동지원 수급자로 독거, 취약가구, 가족의 직장·학교생활 등으로 상시 보호가 필요한 사람이 신청할 수 있다.
이상일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