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코로나19를 겪으며 국내외 퀵커머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한 가운데, 편의점·슈퍼마켓 등 도심 내 중소유통점들과 상생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퀵커머스 경쟁이 골목상권을 침해한다는 논란도 제기됐지만 이제 막 태동한 산업인 만큼 바로 규제를 적용하기엔 시기상조라는 게 정부 입장이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 유통물류과 정상용 과장은 이날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퀵커머스는 유통의 미래인가’ 토론회에서 “(퀵커머스 관련) 규제화는 현재 검토하지 않는다”며 “시장이 커질 것인지 일반화될 것인지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고, 규제를 얘기하기엔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정상용 과장은 “유통산업이 경쟁업체 간 이해관계가 중심축을 이루고 있는 건 사실이고, 여기에 국민 소비생활이 엮여있어 소비 활동 제약을 수반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는 더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퀵커머스로 유의미한 수익을 내는 업체가 많지 않아 시장지배력이 약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퀵커머스는 도심 내 소규모 물류거점을 활용해 신속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럽·미국에서 퀵커머스 주도 기업이 서비스 스타트업인 것과 달리 국내에는 배달의민족 B마트 중심으로 GS리테일 ‘우딜’, CJ올리브영 ‘오늘드림’, 이마트 ‘쓱고우’ 등 대기업들이 마이크로풀필먼트센터(MFC)·소매점 기반으로 퀵커머스 시장에 진출했다.
퀵커머스가 지역 기반 기존 중소상공인이 판매하는 신선식품·생필품을 판매하다 보니 오프라인 유통과 직접 경쟁을 유발,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확대되기도 했다. 실제 산업연구원(KIET)이 퀵커머스 서비스가 출시된 서울·경기지역 5곳 대상으로 해당 지역 범위 소매점포 매출을 비교했다. 그 결과 편의점 주간 매출액은 8.4%, 대기업 슈퍼마켓(SSM)은 9.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보고서 결과가 퀵커머스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아직까지 퀵커머스 서비스는 낮은 수익구조와 서비스 차별화의 어려움, 시장 확대 불확실성 등 서비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여러 장애요인들이 있기 때문이다.
구진경 KIET 서비스미래전략실 실장은 “퀵커머스 서비스 시장 높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에게 배송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소비자 니즈를 충족하고 있다”며 “퀵커머스 이점은 중소유통점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소유통들이 결집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공동 배달대행 서비스를 활용해 소규모 점포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단 구 실장은 “퀵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선 온라인 플랫폼과 물류 대행 시스템 같은 인프라를 갖춰야 하는데 개인 소매점이 구축하기엔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중소상공인들 역시 퀵커머스 서비스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고있진 않았다. 오히려 중소사공인들이 퀵커머스 서비스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도록 경쟁력 높은 플랫폼이 구비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 예로 광역 혹은 기초단체가 주도하는 공동 물류센터를 만들어 골목상권에 들어갈 수 있는 MFC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성원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사무총장은 “퀵커머스를 단순 기업 영리행위로 접근하지 말고 사회 필수 요소인 사회간접자본(SoC)로 인식해야 한다고 본다”며 “이러한 인식전환을 통해 공공이 과감히 투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이상 ‘착한소비’만 강조해선 일반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공공플랫폼이 경쟁력을 갖출 수 없다는 한계를 지적한 셈이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퀵커머스를 중소 유통업체들이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선 지난해 4월부터 부천·포항·창원 등 3개 지역에서 ‘디지털유통 인프라구축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퀵커머스를 대다수 업체들이 도입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유통 전환 준비가 부족한 중소형 유통 골목상권을 위해 온라인 플랫폼·디지털 기반으로 풀필먼트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정 과장은 “퀵커머스 포함 온라인 유통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호를 할거냐 진흥을 할거냐 선택의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현재로선 풀필먼트 사업 등으로 힘을 실어주는 게 훨씬 합리적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모델은 지역 중소 소매점에서 공동 활용 중인 창고형 마트형태 물류센터와 지역 점포를 연계해, 주문부터 배송까지 유통 전 과정을 통합 지원한다. 대형 온라인 쇼핑 접근성과 지역 빠른배달을 통해 온라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만드는 것. 이는 그간 상권보호라는 형태 정부 규제와 자금지원을 통한 단기적 정책위주에서 벗어나 중소유통사들이 자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으로 언급된다.
홍요섭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 디지털유통센터장은 “물류센터에서 개별적으로 운영해나가는 건 굉장히 어렵기 때문에 디지털유통센터에서 헤드쿼터 역할을 하면서 물류센터가 스스로 비즈니스를 성장해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더 늦기 전에 정부 지원이 단기적 민원 해결에서 중장기적인 인프라 조성 사업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