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기획③] 일하러 동네로·메타버스로…뉴노멀 된 거점·가상오피스
[디지털데일리 권하영 기자] 코로나19발 거리두기 여파가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근무지 풍경을 바꾸고 있다. 거리두기는 소강상태에 접어들었지만, 코로나19 이전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근무 문화가 정착되는 추세다.
특히 최근에는 ICT 업계를 필두로 탈(脫)오피스보다는 ‘재택’과 ‘출근’을 어느 정도 결합한 ‘거점·가상오피스’를 늘리는 움직임이 주목된다. 재택 대비 업무 집중도와 협력 툴은 키우되, 회사 출근보다는 주도적 업무가 가능하도록 제반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다.
◆ 우리집 근처에서 일하는 ‘거점오피스’
대표적인 것이 SK텔레콤의 ‘거점오피스’ 실험이다. 앞서 박정호 당시 SK텔레콤 대표(현 SK스퀘어 대표)는 “우리의 근무·소통 방식을 어떻게 발전시킬지 연구가 필요하다”며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는 시도 중 하나로 거점오피스를 본격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거점오피스 ‘스피어(Sphere)’가 바로 그 결과물이다.
SK텔레콤은 지난달 7일부터 서울 신도림과 경기 일산·분당 등 3곳에서 ‘스피어’ 운영을 시작했다. SK텔레콤 직원들은 회사가 자체 개발한 스피어 앱에서 잔여 좌석을 확인해 예약할 수 있다. 사무실 출입구에는 자체 개발 인공지능(AI) 기반 얼굴인식 솔루션 ‘누구 페이스캔(NUGU facecan)’이 적용돼 약 0.2초 만에 직원 얼굴을 인지한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총 420석(신도림 170석, 일산 100석, 분당 150석) 규모의 스피어는 일평균 약 70%의 좌석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구성원의 업무형태를 분석한 결과, 개인업무 54% 협업업무 46%로 개인·협업 업무를 균형 있게 지원하고 있었다. SK텔레콤은 5월부터 매달 셋째주 스피어에서 다양한 이벤트를 하는 ‘해피스피어위크’를 운영하고 있으며, 7월 중 SK그룹의 워커힐 호텔을 이용해 ‘워케이션(Work+Vacation·일과 휴가의 합성어)’ 콘셉트의 스피어도 오픈할 예정이다.
티맵모빌리티, 동남아 기업과 손잡는다…아태지역 생태계 확장
2025-04-15 10:30:04삼성전자-UNDP, 제너레이션17 프로젝트에 청년 리더 추가
2025-04-15 10:19:44KT-업스테이지, 태국에 LLM 플랫폼 수출…AX 글로벌 확장 본격화
2025-04-15 10:16:05구광모 LG 대표 "인재가 곧 국가 경쟁력 원천"…청소년 AI 교육 강화
2025-04-15 10:00:00LG CNS, 구글클라우드와 손잡고 아태지역 AX 수요 공략
2025-04-15 10:00:00